표지 이미지

[CEO인사이트] 제 14호. 압축의 미학, 도시의 미래를 설계하다

팽창은 더 이상 성장의 동의어가 아닙니다. 급속한 고령화와 인구 감소, 수도권 집중과 지방 소멸이라는 복합적 위기에 직면한 대한민국은 이제 과거와 다른 해법을 요구받고 있습니다. 무한 확장을 전제로 한 도시 모델은 한계에 다다랐고, ‘압축’과 ‘밀도’라는 새로운 질서가 도시의 생존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바로 ‘컴팩트시티(Compact City)’입니다. 컴팩트시티는 물리적 공간의 축소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사람이 모이는 힘’, ‘산업이 융합되는 밀도’, ‘삶의 질이 응축되는 공간’을 지향하는 혁신 전략입니다. 이동거리를 줄이고,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공간을 구축하며, 지속가능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미래형 도시 모델입니다. 지금, 대한민국 부동산 정책은 중대한 전환점을 맞고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과밀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지방 도시의 소멸을 막아야 합니다. 주택공급을 넘어, 사람과 산업을 끌어들이는 ‘밀도 중심 개발’로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때입니다. 컴팩트시티는 도시계획을 넘어, 우리 경제와 사회의 생존 방정식이 되고 있습니다. 이번 『CEO인사이트』 14호에서는 컴팩트시티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부동산정책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합니다. 세계 주요 도시들의 성공 사례와 실패를 분석하고, 인구구조 변화와 경제 지형을 반영한 정책 대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도시 재편이 기업과 투자자에게 가져올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함께 짚어봅니다. 압축 속에 담긴 확장의 가능성을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CEO인사이트』와 함께, 대한민국 도시와 경제의 미래를 설계하는 새로운 여정을 시작하십시오. 진정한 성장은 “더 크게 퍼지는 것” 이 아니라, “더 깊게 응축하는 것”에서 비롯됩니다.
PDF 다운로드(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