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된 지 나흘 만에 국민 10명 중 6명이 신청을 완료했습니다.
신청이 몰리면서 인터넷과 지자체 등 곳곳에서는 사건 사고도 뒤따랐습니다.
고진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중고거래 사이트에 올라온 민생회복 지원금 선불카드 판매 글입니다.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며 15만 원짜리 선불카드를 13만 원에 팔겠다고 적혀 있습니다.
또 다른 사이트에도 소비쿠폰을 20만 원에 판매한다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모두 정부 방침에 어긋나는 불법 행위입니다.
경찰은 소비쿠폰 사용 시한인 오는 11월까지 특별단속에 돌입하기로 했습니다.
▶ 인터뷰(☎) : 이정희 /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
- "옛날에 온누리 상품권 같은 지류 상품권에서 나타났던 문제하고 비슷한 거거든요. 소비를 하라고 지급한 건데 그걸 현금화를 해서 거래를 한다든가 이런 부분들은 취지에도 맞지 않기 때문에 금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거든요."
한 지자체는 소득 수준별로 소비쿠폰 색깔을 다르게 만들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까지 나서서 "인권 감수성이 부족하다"고 질타하자 부랴부랴 스티커를 덧붙였는데, 공무원들에게 밤샘 작업을 시켜 또다시 논란이 됐습니다.
각지에서 사건 사고가 발생할 만큼 소비쿠폰 신청 열기는 첫주부터 뜨겁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어제(25일)까지 전체 대상자의 57.1%가 신청해 약 5조2천억 원이 지급됐다고 밝혔습니다.
소비쿠폰 1차 신청 나흘 만에 절반이 넘는 신청이 완료된 겁니다.
그만큼 소비쿠폰을 악용한 현금화 요구 사례도 확산하고 있어 정부와 지자체는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매일경제TV 고진경입니다.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