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위해 국내 기업들과 1천억 달러(137조 원) 이상의 현지 투자 계획을 세워 이를 미국 정부 측에 곧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이 금액은 국내 기업들의 순수한 투자계획을 모은 것이라 금액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통상업계에 따르면 한국 통상 대표단은 당초 오는 25일로 예정됐던 '한미 고위급 2+2 통상협의'에서 이러한 금액을 담은 한국의 투자계획을 미국 정부 측에 제안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다만 '2+2 협상'은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인해 취소됐습니다.
앞서 한국과 산업·수출 구조가 유사한 일본은 5천500억 달러(약 757조 원) 규모의 투자 펀드를 제안해 25%로 예고됐던 상호관세를 15%로 낮추는 성과를 낸 바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관세 협상에 앞서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을 중심으로 국내 기업들과 접촉해 가용한 현지 투자 금액을 취합했고, 현재까지 기업들로부터 약속받은 투자 금액은 1천억달러가량입니다.
일본 투자 금액에 비해선 적지만 일본의 경제 규모가 한국과 비교해 2배가 넘는 것을 고려하면 적지 않은 금액이라는 것이 재계 관계자들의 평가입니다.
또 이는 기업들의 순수 투자계획이라 정부 조달자금까지 더해질 경우 제안 금액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정부는 일본처럼 투자 펀드를 만드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협상에 정통한 정부 고위 관계자는 "우리도 실무선에서 (펀드 조성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일단 미국에 투자할 계획이 있는 기업들의 계획을 모아서 취합하고 액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일본도 대미 투자 펀드에 대해 "정부계 금융기관이 최대 5천500억 달러 규모의 출자·융자·융자보증을 가능하게 하는 합의"라며 JBIC(옛 일본수출입은행)와 일본무역보험을 활용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한국 정부 역시 기업 투자에 더해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무역보험공사, 한국투자공사(KIC) 등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가능성이 점쳐집니다.
이날 블룸버그 통신도 "한국 정부가 통상협상에서 미국에 투자하는 펀드 설립을 논의하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현대차그룹 등 국내 기업들은 대대적인 관세 인상을 예고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맞춰 대규모 현지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3월 정의선 회장이 직접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미국 조지아주의 차량 생산 확대와 루이지애나주의 새로운 철강 공장 건설 등을 포함한 21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일본이 이러한 투자 선물 보따리로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2.5%로 절반 하향 조정한 것을 고려할 때 한국의 이번 대미 현지 투자에도
현대차그룹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밖에
대한항공은 미국의 항공 제작사 보잉의 항공기와 항공기 엔진 제작업체 GE에어로스페이스와 총 327억 달러(48조 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삼성전자는 370억 달러(약 54조 원) 이상을,
SK하이닉스는 38억7천만 달러(약 5조6천억 원을)를 각각 투자해 미국 현지 반도체 생산 거점 건설을 추진 중입니다.
통상환경에 정통한 관계자는 "일본의 대규모 투자 약속이 상호관세를 낮추는 데 일조한 만큼 한국도 경제 규모에 맞는 투자 금액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면서 "국내기업들과의 협조가 필수적이라 이미 조율을 마친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 구민정 기자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