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 글로벌 경영환경을 긍정적으로 전망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경제계 비율이 10%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OECD 경제산업자문위원회(BIAC)의 '2025 경제정책 조사'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BIAC는 OECD 회원국을 포함한 45개국 경제단체가 참여합니다.

다만 이번 조사에는 36개국 단체만 참여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올해 하반기 경영환경을 '좋음'이라고 전망한 비율은 16%에 그쳤습니다.

지난해 10월 조사 때는 78%가 현재의 경영환경에 대해 '좋음'이라고 평가한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단순 비교하면, 경영환경에 대한 긍정적 평가 비율이 반년 새 5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한 것입니다.

또한 조사 참여 경제단체의 97%는 높아진 무역 장벽이 자국 국내총생산(GDP)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발 관세 정책과 무역협정 재검토 가능성 등으로 국제 통상질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보호무역주의가 확산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BIAC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글로벌 기업들은 무역장벽 확대와 지정학 갈등 속에서 더 이상 자국 정책만으로는 대응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OECD가 무역 질서 회복과 디지털 규범 조율을 이끌어가는 다자협력의 핵심 축으로 기능해야 한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