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미 위해 美 상무·USTR 대표와 일정 조율”
마크롱은 “관세 부과는 협박”…트럼프 저격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상호관세에 관한 연설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천명한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종료 기한이 다가오면서 유럽연합(EU)이 막바지 협상에 총력을 기한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은 이날 “7월 9일(상호관세 90일 유예 종료 시점)이 코 앞”이라며 이달 1일 미국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최종(eventual)’ 협상을 하는 것이 현재의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셰프초비치 집행위원은 “(미국 측에서) 궁극적으로 원칙적 합의를 위한 제안 초안서를 받았다”며 현재 이를 두고 협상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역내 디지털 규제에는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토마 레니에 EU 집행위원회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디지털시장법(DMA)과 디지털서비스법(DSA)은 미국과 무역협상에서 논의 대상이 아니다”고 말했다.
DMA는 빅테크의 시장 지배력 남용 행위를 금지하고 위반 시 과징금을 부과하는 법이며, DSA는 온라인상 허위·불법 콘텐츠를 차단하기 위한 법이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같은 날 강대국들이 부과하는 관세는 무역 균형을 맞추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일종의 협박이라고 주장했다.
관세를 앞세워 전 세계 각국과 무역 협상을 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저격한 셈이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국제 무역에 자유와 공정성을 회복시켜야 한다”며 “장벽과 관세는 가장 강한 자들이 설계한 것으로 균형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종종 협박의 도구로 사용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이와 관련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대통령과 백악관은 마크롱 대통령의 그런 표현을 분명히 거부할 것”이라며 “관세는 중산층을 회복하고, 미국 경제의 근간이었던 제조업을 되살리기 위해 대통령 권한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