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67)이 27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인공지능(AI)에 대한 미래 비전을 밝혔다.

그가 추구하는 것은 인간 지능의 1만배에 달하는 초인공지능(ASI)의 실현이다.

손 회장은 "10년 정도 뒤에 ASI를 실현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소프트뱅크그룹을 ASI의 세계 1등 플랫폼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손 회장이 구상하는 AI 사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ARM과 오픈AI를 중심으로 한 AI 서비스 산업이다.

지난 2월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공개한 '크리스털 인텔리전스' 에이전트가 대표적인 예다.


이는 기업에 맞춤형 AI 비서를 두는 것으로 요약된다.

기업이 가진 시스템과 회의자료, 메일 등 모든 데이터를 활용해 업무 효율화와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아날로그 방식이 아직도 지배하고 있는 일본 기업에 AI를 통해 변화의 바람을 일으키겠다는 것이 그의 구상이다.


손 회장은 "크리스털이 있는 회사와 없는 회사는 전기가 있는 나라와 없는 나라 정도의 큰 차이가 생길 것"이라며 "AI가 기업의 모든 것을 이해한 뒤 맞춤형 의사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기업엔 큰 무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크리스털 에이전트는 현재 오픈AI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덧붙여지는 형태라 큰 규모의 투자는 필요 없다.

장기적으로 ASI로 가기 위해서는 9조달러 규모의 투자가 필요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다른 하나의 AI 사업은 AI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이다.

우선 시작한 것이 올해 초 백악관에서 밝힌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다.

이는 5000억달러(약 678조원)를 투자해 텍사스·애리조나 등 미국 주요 거점에 데이터센터 10개 이상과 이를 잇는 전력망 등 기반시설을 갖추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손 회장 구상이 현실화하면 미국이 AI에서 남들을 크게 앞서는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으로 보인다.

도로와 같은 기본 인프라가 없으면 자동차 산업이 클 수 없는 것처럼 데이터센터와 전력망 등은 AI 산업에 필수 요소로 꼽히기 때문이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엔 소프트뱅크그룹과 오픈AI가 각각 40%의 지분을 갖는 주요 주주로 참여한다.

미국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기업인 오라클과 아부다비 정부 산하 투자회사인 MGX도 각각 7%가량의 지분을 가질 것으로 알려졌다.


손 회장 구상은 프로젝트 전체 필요 자금 중 10%인 500억달러만 주주들이 출자하고 나머지는 대출과 프로젝트파이낸싱 등을 통해 충당하는 것이다.

당장 소프트뱅크그룹은 주거래은행인 일본 미즈호은행에서 100억달러를 대출받기로 해 주주 출자분 일부를 마련할 수 있게 됐다.


문제는 4500억달러에 달하는 자금의 대출 가능 여부다.

손 회장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자금을 기대하고 있는데 최근 중동 정세와 손 회장의 투자 실패 사례 등이 맞물리면서 상황이 썩 좋지 않다는 분석이다.

손 회장의 글로벌 투자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것이 비전펀드다.


2017년 출범해 1000억달러 규모로 운용 중인 비전펀드1엔 사우디 국부펀드인 공공투자기금(PIF)에서 450억달러, 아부다비 정부 펀드인 무바달라에서 150억달러 등 중동 자금만 600억달러를 유치했다.


한편 불안한 소프트뱅크그룹의 후계 구도도 스타게이트와 같은 대형 프로젝트에선 부정적이라는 평가다.

일단 손 회장이 "내 머릿속에 후보 몇 명이 있고, 이들이 그룹에서 경쟁 중"이라고 언급해 안도한 주주가 많아진 상황이다.

시장에선 그룹 이사회 구성원이나 핵심 자회사인 ARM 경영진 등을 후보군에 넣는 분위기이지만 뚜렷하게 꼽히는 인물이 없다.

여기에 손 회장이 "더 하려는 생각도 있다"고 언급해 후계 구도 정리가 오랜 기간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도쿄 이승훈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