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10년된 게임 찾아, 익숙한 방법으론 죽는다”…1등 게임사의 경고

박용현 넥슨게임즈 대표이사가 24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넥슨 개발자 콘퍼런스(NDC 2025)’를 열고 기조연설 중이다.

[이가람 기자]

넥슨이 빅게임을 만드는 이유는 생존이다.

게임업계 정체 속에서 빅플레이어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빅플레이어가 잘 할 수 있는 게임, 기존의 게임을 초월한 게임으로 승부를 봐야 한다.

넥슨이 빠르게 변화하는 게임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법으로 빅게임 전략을 제시했다.

빅게임이란 콘텐츠가 방대하고 완성도가 탄탄한 작품을 의미한다.

더는 익숙한 방법으로 생존할 수 없는 위기에 직면했다며 전면적 변화와 글로벌 진출을 강조했다.


24일 박용현 넥슨게임즈 대표이사는 이날 경기 성남시 분당구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넥슨 개발자 콘퍼런스(NDC 2025) 기조연설을 통해 “최근 우리나라 게임시장은 일종의 정체에 빠진 상황으로 PC·모바일·패키지 모두 위기를 맞고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PC방 및 스팀 랭킹 상위 게임 대부분이 출시한 지 10년이 넘은 구작이다.

이처럼 신작이 히트하는 사례가 드문데, 모바일은 유튜브·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같은 비게임 콘텐츠와도 치열하게 경쟁해야 한다.


박 대표는 “모든 시장이 포화되자 기업들은 서로의 시장을 넘보기 시작했다”며 “패키지 중심의 글로벌 게임사들이 라이브 서비스를 시도하고 중국의 개발사들도 내수용 게임에서 벗어나 글로벌 시장에 눈을 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경쟁 속에서 살아남으려면 방어적인 자세를 취해서는 안 된다”며 “과감하게 밖으로 치고 나가는 공격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박 대표는 글로벌 무대에서 뛰어난 기존의 강자들과 맞붙어 이길 수 있는 퀄리티를 갖춘 타이틀을 빅게임으로 정의했다.


올해의 ‘넥슨 개발자 콘퍼런스(NDC)를 맞아 24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넥슨판교사옥에 마련된 포토존. [이가람 기자]
물론 빅게임 개발이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게임사들이 글로벌 시장을 개척할 기회가 남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구권 대비 낮은 개발비, 세계적인 서비스 운영 시스템, 한국 문화의 세계적 인기, 빅게임 개발 경험 축적 등 강점이 명확하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장점은 시간이 흐를수록 축소될 것으로 관측된다.

박 대표는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마케팅 방식, 개발 조직 규모, 신선한 콘텐츠 등 과제를 빠르게 풀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출시일에 임박해 트레일러를 만드는 현재의 방식보다 일찍부터 게임의 방향성을 예고하는 매력적인 트레일러를 공개해 화제성을 끌어올리는 등의 방법을 예시로 들었다.


박 대표는 “지금은 개발·마케팅·조직 운영 전반에서의 구조적 전환이 필요한 시기”라며 “비빔밥은 알지만 비빔냉면은 모르는 요리사가 밥을 면으로만 바꾼 메뉴를 판매한 것처럼 기존 경험이 무의식적 목표를 비틀고 있는데, 기존과 다른 게임을 만들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한편 NDC 2025는 6월 24일부터 26일까지 사흘간 경기 성남시 분당구 넥슨판교사옥과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다.

코로나 대유행으로 온라인 및 비공개 형태로 진행됐던 행사가 올해부터는 다시금 오프라인 행사로 찾아왔다.

지난 2019년 이후 6년 만이다.

NDC 2025는 10개 분야의 49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최근 게임업계의 화두인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과 지식재산권(IP) 확장 등이 중심 주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