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러시아·중국 등 전 세계 핵보유국들의 핵탄두 보유량이 증가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십 년간 핵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북한은 핵탄두를 90개까지 늘릴 역량을 갖춘 것으로 분석됐다.
15일(현지시간) 글로벌 안보 싱크탱크인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펴낸 '2025 연보(Yearbook)'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국가들이 보유 중인 핵탄두 재고량은 올해 1월 기준 총 1만2241개로 추정된다.
전년 동기 예측치(1만2121개)보다 소폭 늘었다.
러시아가 핵탄두 5459개를 보유해 1위를 차지했다.
또한 같은 유엔 상임이사국이자 핵확산금지조약(NPT)상 공식 핵보유국인 미국(5177개) 중국(600개) 프랑스(290개) 영국(225개)이 뒤를 이었다.
한스 크리스텐센 SIPRI 수석연구원은 "핵무기 감축 시대는 끝나고 있다"며 "우리는 핵무기 증강과 군비통제 협정 붕괴라는 뚜렷한 흐름을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핵탄두 보유량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로 지목됐다.
중국은 2023년부터 매년 핵탄두를 100개씩 늘려온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핵탄두 50개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이 향후 이를 더 늘릴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SIPRI는 연보에서 "(북한은) 최대 40개를 더 생산할 정도의 핵분열 물질을 보유한 채 핵분열 물질 생산에 박차를 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최현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