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0%’ 펜타닐 관세에
보복관세·수출통제 등 유지
“중국 이익 심각하게 훼손”
 |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 <중국 외교부> |
미·중 무역전쟁이 휴전에 들어간 가운데 중국 정부가 미국 ‘펜타닐 관세’에 대한 보복 관세와 수출 통제 등 대응 조치는 유지한다고 14일 밝혔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은 펜타닐 문제를 이유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불합리하게 두 차례나 인상했고 (이번 합의에도) 이를 유지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미국의) 두 차례 관세 부과에 모두 즉시 대응 조치를 취해 정당한 권리와 이익을 지켰다”며 “이러한 대응 조치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중은 지난 12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상호 과세 인하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향후 90일간 미국의 대중 관세율은 145%에서 30%, 중국의 대미 관세율은 125%에서 10%로 낮아진다.
미국의 대중 관세율 30% 안에는 ‘펜타닐 관세’ 20%가 포함돼 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펜타닐을 이유로 지난 2월과 3월 두 차례에 걸쳐 중국산 제품에 총 20%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중국은 지난 2월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등에 최대 15%, 3월에는 미국산 농축산품에 최대 15%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했다.
또 텅스텐·텔루륨·비스무트·몰리브덴·인듐 등 핵심광물의 수출을 통제하고, 일부 미국 기업에 대한 전략물자 수출 통제 조치를 내렸다.
이날 린 대변인은 펜타닐 문제와 관련해 “펜타닐을 미국의 문제이지 중국의 문제가 아니다”며 “책임은 미국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중국의 선의를 무시하고 무리하게 펜타닐 관세를 부과했다”며 “이는 중국의 이익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