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 충격 최소화 위해
패키지 유동성 공급책 발표
 |
중국인민은행. [사진 = 바이두] |
중국이 미국과의 관세전쟁 장기화에 대비해 대규모 유동성 공급 방안을 내놓아 주목받고 있다.
당장 미·중 관세전쟁 충격이 2분기 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평가와 함께 본격적인 경기 방어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7일
중국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은 기자회견에서 △지급준비율(RRR·지준율) 0.5%포인트 인하 △정책금리 0.1%포인트 인하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 0.1%포인트 인하를 비롯해 다양한 패키지 부양책을 쏟아냈다.
자동차 소비를 유도하기 위해 현행 5%인 자동차 금융사와 금융리스사의 지급준비율을 없애고 농촌과 소기업 지원 대출 금리를 1.75%에서 1.5%로, 담보보완대출(PSL) 금리를 2.25%에서 2%로 인하하기로 했다.
‘주택공적금’(주택 매입을 위해 기업과 노동자가 공동 부담하는 장기 적금) 대출 금리도 0.25%포인트 낮추고, 이 가운데 만기가 5년인 첫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2.85%에서 2.6%로 내리기로 했다.
또 노인 돌봄 등을 위한 재대출 5000억위안(약 96조원)을 신설하고 ‘과학·기술 혁신 및 기술 개조 재대출’ 한도를 현행 5000억위안에서 8000억위안(약 154조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아울러 자본 시장 활성화를 위해 총 8000억위안(약 154조원) 규모 지원책을 내놓겠다고 전했다.
중국 당국이 패키지로 부양책을 내놓은 것은 미·중 관세전쟁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올해 1분기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는 시장 예상을 웃돌았지만 2분기부터는 기대를 밑돌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올 1분기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동기보다 5.4% 증가한 31조8758억위안(약 6187조원)에 달했다.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수준이지만 당장 미·중 관세전쟁을 피하기 위한 수출 ‘밀어내기’ 효과에 따른 반짝 실적이라는 평가가 쏟아졌다.
실제 중국 경제 성장을 떠받쳐온 제조업은 지난달부터 휘청이기 시작했다.
지난달 중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전월(50.5) 대비 1.5포인트 하락한 49.0에 불과했다.
이는 16개월 만의 가장 큰 하락폭이다.
PMI가 기준선인 50 아래로 떨어지면 제조업 경기가 수축 국면에 진입했음을 의미한다.
미국발 관세 폭탄의 충격이 실물경제로 옮겨붙을 조짐을 보이자 중국 당국이 준비해둔 유동성 공급 대책을 발표한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앞서 중국 당국은 지난해 12월 중앙정치국회의와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올해 거시경제 기조로 ‘보다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적절히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설정했다.
지난달 25일 열린 중앙정치국회의에서도 “지준율과 금리를 적시에 인하해 실물경제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베이징 = 송광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