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C현대산업개발, HDC현산, 용산정비창 조합원 세대당 추가수익 8.5억 제안

HDC현대산업개발이 서울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재개발사업 수주를 위해 국내 도시정비사업에서 승부수를 던졌습니다.

HDC현대산업게발이 제안한 사업비 조달 금리는 CD+0.1%로 경쟁사의 CD+0.7% 보다 대폭 낮은 도시정비사업 사상 최저 수준입니다.

사업비 전체 규모가 수천억 원에 이르는 만큼 조합의 금융 이자 부담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고, 정비계획변경 기간까지 고려하면 수백억 원의 이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합원 개인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최저 이주비는 세대당 20억 원(LTV 150%)으로 제시됐습니다.

이 또한 국내 정비사업 역사상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자산 평가금액이 낮은 소규모 소유주도 충분한 이주 자금을 확보할 수 있어, 사업 지연 요인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주비를 초과하는 추가 대출에도 동일한 LTV를 적용해 모든 조합원의 상황을 세밀하게 반영했습니다.

사업 추진에 핵심적인 공사비는 평당 858만 원으로 조합의 예정가(960만 원) 대비 100만 원 이상 낮고, 경쟁사의 894만 원보다도 훨씬 저렴합니다.

사업성 제고를 위해 경쟁사보다 5천843평 넓은 연면적을 포함하면서도 낮은 평단가를 유지했습니다.

이는 지하 공간 활용과 수익형 비주거시설 효율 배치 등을 통해 분양수익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에 기반합니다.

공사기간은 42개월로 경쟁사보다 5개월 앞당겼습니다.

공기 단축은 임시거주비, 금융이자 비용 감소는 물론, 상가 등 비주거시설의 조기 수익 실현에 따른 조합원 혜택 증가로 이어집니다.

단지 계획 측면에서도 HDC현산은 9개동 설계를 제안해 인동거리와 조경 면적 확보에 유리한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삼성물산 리조트부문 조경팀과 협업한 체류형 조경설계는 단지 내 머무는 시간을 고려한 고급 주거 환경을 구축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또 조합원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분양 발생 시 '최초 일반분양가 또는 준공시 감정가 중 높은 금액으로 대물변제' 조건을 제시했습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표면적으로 비슷해 보여도 실제 조합원 입장에서 체감하는 차이는 HDC현대산업개발이 유리하다"며 "사업의 안정성, 수익성, 부담 완화 수준 모두에서 차이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