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브라힘 국왕 주최 환영식 참석...안와르 총리와 정상회담
기고문서 美 겨냥 “아세안과 함께
진영 대립, 일방주의와 보호주의에 맞서 싸울 것”
 |
동남아시아 3개국 순방에 나선 중국 시진핑 주석(가운데)이 말레이시아를 국빈방문한 가운데 16일(현지시간) 쿠알라룸푸르 왕궁에서 열린 환영식에서 이브라힘 알마훔 이스칸다르 말레이시아 국왕(왼쪽)과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오른쪽)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오락가락 애매모호한 관세정책이 글로벌 혼란을 부추키고 있는 가운데, 동남아시아 순방에 나선 시진핑 중국 주석이 베트남에 이어 말레이시아에서 ‘관세전쟁’ 우군 확보를 위한 계산된 행보를 이어갔다.
AFP통신과 현지 매체 더스타 등에 따르면 시주석은 16일(현지시간) 오전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왕궁에서 열린 이브라힘 알마훔 이스칸다르 말레이시아 국왕 주최 환영식 참석으로 본격적인 국빈 방문 일정에 돌입했다.
이브라힘 국왕은 시 주석을 비롯한 중국 대표단과 대화한 뒤 국빈 연회를 개최했다.
조호주 술탄(최고통치자) 출신인 이브라힘 국왕은 지난해 1월 말부터 국왕 직무를 수행해왔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말레이반도 9개 주 술탄이 순번제로 5년 임기 국왕을 맡는다.
시주석은 오후에는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와 회담하고 양국 협력 강화 방안과 국제 현안을 논의했다.
안와르 총리와의 회담에서는 중국·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을 통한 관세 인하 확대도 논의된 것으로 보인다.
말레이시아는 올해 아세안 의장국으로, 시 주석이 말레이시아를 찾는 건 지난 2013년 이후 12년 만이다.
시주석은 1박 2일간의 베트남 국빈 방문 일정을 마치고 전날 오후 2박3일 일정으로 말레이시아에 도착했다.
중국은 말레이시아의 최대 교역국이다.
양국 교역액은 지난해 2120억 달러(약 302조3000억원) 규모였다.
지난해 중국과 아세안 교역액은 약 9800억달러(1396조9000억원) 규모였다.
중국과 아세안 서로가 최대 무역 상대다.
전문가들은 시 주석의 이번 순방이 미국의 ‘관세폭탄’ 위협을 받는 동남아에서 중국이 미국을 대신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의도라고 분석했다.
쿠 잉 후이 말라야대 교수는 “지역의 무게 중심을 중국으로 재조정하려는 것”이라며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세계 시장이 혼란에 빠진 상황에서 동남아와 연대하려는 계산된 행보”라고 말했다.
시 주석은 말레이시아에 도착하기 전 현지 매체 더스타에 게재한 기고문에서 “중국은 말레이시아를 비롯한 아세안 국가들과 함께 지정학적이고
진영에 기반한 대립, 일방주의와 보호주의에 맞서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과 경제적 교류를 확대해온 동남아 국가들은 미국의 고관세 표적이 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이 90일간 유예한 상호관세는 베트남과 말레이시아가 각각 46%, 24%이며, 시주석의 다음 순방국인 캄보디아는 49%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