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 통합생산기지에 4600억 투자
러시아 2400억·베트남 1300억 투자

오리온이 국내외 생산시설 증설에 총 83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국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해외에 공장을 증설해 글로벌 경쟁력을 대폭 끌어올린다는 복안이다.


15일 오리온은 “올해를 매출 5조원, 영업이익 1조원 달성을 위한 원년으로 삼고, 성장 기반 구축에 나선다”며 “구체적으로 2027년까지 국내 4600억원, 러시아 2400억원, 베트남 1300억원 등 총 8300억원을 투자해 국내외 생산시설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오리온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3조1043억원, 영업이익 5435억원을 기록했다.


오리온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충청북도 진천군 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에 생산·포장·물류 통합센터 구축에 4600억원을 투자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최근 5년 내 국내 식품 기업의 국내 투자로는 최대 규모다.


진천 통합센터는 축구장 26개 크기인 약 18만8000㎡(약 5만7000평) 용지에 건설되며, 생산·포장·물류까지 통합된 생산기지다.

연내 착공해 2027년 완공할 예정이며, 국내는 물론 해외 일부 수출 물량도 이곳에서 생산될 예정이다.

익산(2개), 청주(2개), 안산(1개), 밀양(1개), 제주(1개) 등 기존 국내 공장 7개는 진천 센터 준공 후에도 그대로 운영된다.

진천 공장이 완공되면 기존 공장을 포함해 오리온의 국내 총 생산능력은 현재 출고가 기준 최대 2조3000억원에 달하게 된다.


진천 통합센터 조성에 필요한 자금은 중국·베트남 법인으로부터 받은 배당금으로 충당한다.

오리온은 2023년부터 해외 법인의 국내 배당을 하고 있다.

올해 이들 법인으로부터 약 2900억원을 배당금으로 수령해 2023년부터 올해까지 총 누적 배당금 약 6400억원을 확보할 예정이다.


오리온은 러시아, 베트남 등 고성장하고 있는 해외 법인 투자도 늘린다.

해외 공장 투자금은 해외 법인에서 벌어들인 이익금으로 충당한다.

오리온에 따르면 러시아 법인은 현지 판매물량이 최근 6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러시아에 트베리, 노보에 각각 1개씩 총 2개의 공장이 있다.

두 공장의 총 가동률이 120%를 넘겼지만, 초코파이 수요가 공급량을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오리온이 러시아 트베리 공장에 총 2400억원을 투자해 신설동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신설동에는 초코파이, 비스킷, 스낵, 젤리 등 16개 제품의 생산 시설이 마련될 예정이다.

오리온 관계자는 “증설 후 러시아의 연간 총 생산량은 현재의 2배인 7500억원(현재 제품 출고가 기준)까지 확대돼 러시아 법인의 성장세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베트남 법인은 매년 고신장을 거듭하면서 지난해 매출 5144억원을 달성했다.

베트남 법인이 연 매출 5000억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리온은 베트남은 젊은 인구가 많은 데다 성장잠재력이 큰 시장인 만큼 총 1300억원을 투자해 베트남에서 1등 식품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다.


오리온은 베트남에 호치민과 하노이에 각각 1개씩 총 2개의 공장을 갖고 있다.

올해 하반기 하노이 공장에 신설동을 짓고 쌀과자 생산설비 등을 확대한다.

또 하노이에 새로운 용지를 확보해 사탕 등을 생산하는 신규 공장도 2026년 완공 목표로 지을 예정이다.

기존 베트남 공장 2개와 신규 공장 1개를 포함해 2026년까지 총 9000억원까지 생산능력을 키울 계획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