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바비코어 인형. [사진 출처 = 데일리메일] |
최근 인공지능(AI) 이미지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스타일의 이미지가 또다른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12일(현지 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은 자신과 유명인을 상자에 담긴 바비인형으로 변신시키는 ‘바비코어(Barbiecore)’가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했다고 보도했다.
‘바비코어’ 스타일은 인물이 플라스틱 포장 박스 안에 들어 있는 피규어처럼 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생성 방법은 지프리 화풍으로 바꾸는 방식과 비슷하다.
챗GPT에 피규어로 변환활 전신사진과 함께 포장 형태, 액세서리, 배경 색상 등 원하는 조건을 구체적으로 입력하면 된다.
미국 할리우드배우 브룩 쉴즈를 비롯해 유명 화장품 브랜드들도 이 트렌드에 동참하고 있다.
누리꾼들은 각종 유명 인사나 연예인을 바비코어 스타일로 생성해 SNS에 공유하고 있다.
재스민 엔버그 이마케터 수석 소셜 미디어 분석가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생성형 AI는 사람들이 트렌드를 만들고 이를 활용하는 것을 더 쉽고 빠르게 해준다”며 “무엇보다 AI 기술이 디지털 생활에 점점 더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AI로 인한 트렌드가 SNS에 자주 등장할 것”이라고 전했다.
챗GPT는 오픈AI가 지난달 25일 선보인 챗GPT-4o 모델의 새로운 AI 이미지 생성 기능과 함께 사용자가 폭증했다.
서비스 출시 뒤 특히 지브리 풍 이미지 생성이 신드롬으로 불릴 수준의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해당 서비스가 시작된 뒤 이미지 생성 기능을 활용해 자신의 사진을 디즈니와 심슨 등 인기 애니메이션 화풍으로 바꿔 SNS엔 올리는 게 세계적인 유행처럼 번졌다.
그동안 가장 인기를 끈 그림체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하울의 움직이는 성’ 등 일본의 대표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지브리 스튜디오의 화풍이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