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금은? 품목별 관세는?...삼성·SK, 반도체 두고 여전히 ‘불안’

25% 상호관세 폭탄은 피한 반도체업계
품목별 관세 부과 등 후속 상황 예의주시

[사진출처 = 연합뉴스]
국내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를 일단은 피했지만 관련 업계는 불안함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여전히 품목 관세 지정 가능성이 남아 있는데다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 보조금 재협상 가능성을 시사해서다.


미국 정부는 2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다른 나라의 무역장벽에 따라 미국 기업이 받는 차별을 해소한다는 명목의 상호관세는 기본관세(5일 시행)와 이른바 ‘최악 국가’에 대한 개별 관세(9일 시행)로 구성돼 있다.


이번 상호관세에서 반도체를 비롯한 자동차와 철강 등 일부 품목은 제외됐다.

하지만 이들 제품에 대해선 언제든지 품목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


이미 미국 정부는 지난 달 12일부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자동차에 대해서도 25% 부과한 품목 관세는 3일부터 시행된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삼성전자SK하이닉스는 이와 관련 공식 입장을 내놓지는 않고 있다.

대신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해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황이어서 관련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는 모습이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상호관세는 잘 피해갔을지 모르지만 품목 관세 부과 여부나 그 비율도 전혀 알 수 없는 상태”라며 “불확실한 것은 마찬가지다”고 말했다.


향후 대미 반도체 투자에 따라 지급되는 보조금 지급 규모가 축소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는 점도 불안함을 키운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반도체 보조금의 재협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미국 투자 액설러레이터’를 신설하면서 보조금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상무부의 반도체법 프로그램 사무국을 이 기구 산하에 두도록 했다.

그러면서 그는 “전임 행정부보다 훨씬 나은 합의를 협상해 흥정(bargain)에 따른 이득을 납세자에 가져다주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한 대응 차원에서 주요 기업들은 미국 대관업무 파트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탄핵 정국 속 국가 리더십마저 부재해 기업별 대응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LG그룹은 지난달 대미 통상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제현정 한국무역협회 워싱턴지부장을 영입했다.

무협에서 통상지원단 단장을 지낸 제 지부장은 통상 분야 전문가로 통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해외대관 조직인 글로벌퍼블릭어페어스(GPA)팀을 실 단위로 승격하고, 외교부 출신인 김원경 부사장을 사장으로 승진시켰다.

또한 삼성전자는 로비 업체 ‘콘티넨털 스트래티지’와 계약을 맺었다.

이 곳은 트럼프 대통령 보좌를 총괄하는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의 딸이 소속된 업체다.


현대자동차그룹는 지난해 미 정부에서 핵심 요직을 지낸 성 김 전 주한 미국 대사를 전략기획 담당 사장으로 영입했다.

최근에는 연원호 전 국립외교원 경제기술안보연구센터장을 글로벌 대관 조직인 ‘GPO(Global Policy Office)’ 내 글로벌경제안보실장으로 임명했다.


재계 관계자는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예측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동시에 나라별, 기업별 협상의 여지를 전혀 배제하는 것은 아니어서 관련 전문가 영입 등을 통해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