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 사용 노선 확장 계획
1월 유럽 이어 두번째 성과

SK에너지가 국내 정유사 처음으로 홍콩 국적항공사에 지속가능항공유(SAF)를 대량 공급한다.


SK에너지는 10일 홍콩 캐세이퍼시픽항공과 2027년까지 2만t 이상의 SAF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캐세이퍼시픽항공은 지난해 11월부터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모든 항공기에 SK에너지가 공급하는 SAF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두 회사는 앞으로 SAF 사용 노선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계약으로 SK에너지는 지난 1월 유럽에 SAF를 수출한 이후 2개월여 만에 홍콩 최대 민항사와 안정적인 공급 계약을 성사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국내 정유사의 SAF 수출 물량 중 8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시장이다.

SK에너지는 이번 계약을 계기로 지역 내 SAF 시장 공략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홍콩 첵랍콕국제공항은 지난해 전 세계 여행객 수 5위를 기록한 아태 지역 주요 환승 허브다.

SK에너지는 이를 기반으로 SAF 공급망 확대를 추진한다.


SK에너지는 지난해 9월 연산 10만t 규모의 저탄소 제품 대량 생산체계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코프로세싱(Co-Processing) 방식으로 SAF 상업 생산을 시작했다.

코프로세싱은 기존 석유제품 생산 공정에 바이오 원료 공급 배관을 연결해 SAF와 바이오납사 등 저탄소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2021년 항공 업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50년까지 2005년 대비 50% 감축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후 SAF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유럽과 미국은 이미 SAF 사용을 의무화했으며, 한국 정부도 2027년부터 국제선 항공편에 SAF 혼합을 의무화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이영철 SK에너지 마케팅본부장은 “국내외 SAF 정책 변화와 수요 변동 등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다양한 전략적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안정적인 글로벌 SAF 공급망을 구축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철 SK에너지 마케팅본부장(왼쪽)과 알렉스 맥고완 캐세이퍼시픽항공 운영 및 서비스 제공 최고 책임자(오른쪽)가 10일 홍콩 캐세이퍼시픽항공 본사에서 지속가능항공유(SAF)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SK에너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