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홍보하는 美백악관…현대차·LG·삼성 또 언급, 왜?

“미국 시장 확장 모색하고 있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이 1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해외 기업의 미국 투자가 늘고 있다며 현대차LG전자, 삼성전자를 각각 사례로 들었다.


백악관은 이날 “기업들은 잠재적 관세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자 미국 시장으로의 확장을 모색하고 있다”는 제목의 보도자료에서 글로벌 대기업 12곳을 언급했다.


백악관은 점점 더 많은 기업이 “미국에서 사업을 확장하거나 판매점을 준비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는 로이터 통신의 보도를 전했다.


그러면서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노동자를 우선하고 미국 경쟁력을 향상하겠다는 약속의 직접적 결과”라고 주장했다.


백악관은 현대차에 대해 “한국의 자동차 제조업체는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1월 23일 미국 현지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며 “또 조지아주의 새로운 공장에서 하이브리드차를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적었다.


이어 LG전자와 관련해서는 “한국의 거대 전자업체가 멕시코의 냉장고 제조 공장을 세탁기·건조기를 생산하는 테네시주 공장으로 이전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1월 21일 한국의 한 신문이 보도했다”고 전했다.


백악관은 삼성전자에 대해서도 한국의 한 경제지 보도를 인용해 “한국의 거대 기술기업은 멕시코의 건조기 제조 공장을 사우스캐롤라이나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밖에도 백악관은 이탈리아 주류 회사 캄파리(CAMPARI), 대만의 컴팔(COMPAL) 전자, 대만 인공지능(AI) 업체 인벤텍(INVENTEC), 일본 자동차 업체 혼다, 명품 그룹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자동차 업체 폭스바겐, 볼보 등도 미국에 생산시설 확대와 투자를 검토 중인 사례로 들었다.


백악관은 앞서 지난달 2일에도 관세 효과를 홍보하면서 현대차현대제철, LG전자, 삼성전자 등 한국 기업의 사례를 소개한 바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