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합성마약 펜타닐과 불법이민 유입을 이유로 지난 4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멕시코에 부과한 25%의 관세가 또다시 한 달간 유예됐다.

표면적으로는 이들 국가가 펜타닐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을 강조했지만, 실질적으로는 미국 경제에 미칠 경제적 파장이 만만치 않다는 점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는 조정 없이 예정대로 오는 12일 발효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제품 중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이 적용되는 품목에 대해 다음달 2일까지 '25% 관세'를 면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전날 멕시코·캐나다산 자동차에 대해 1개월간 관세 면제를 결정한 데 이어 면제 적용 대상을 대폭 확대하고 나선 셈이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 통화한 뒤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멕시코에 USMCA에 해당하는 모든 상품에 대한 관세를 요구하지 않는 데 나는 동의했다"면서 "이는 4월 2일까지 유효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로써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일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해 부과한 25%의 관세는 상당 수준의 범위에 걸쳐 1개월간 유예를 받게 됐다.

백악관 당국자에 따르면 작년 무역 통계상 멕시코산 수입품 중 USMCA 적용 대상은 거의 50%이고, 캐나다산 수입품은 38%가 USMCA 적용 대상이다.


백악관 당국자는 이날 전화 브리핑에서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의 목적이 펜타닐 유입 차단에 집중돼 있다고 소개하면서 두 나라가 펜타닐 유입 차단을 위해 해온 노력을 평가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캐나다와 멕시코에 부과하는 고율 관세가 미국 경제에 주는 역효과를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세 유예 결정과 관련해 "단기 조정일 뿐이다.

난 미국인에게 피해를 주고 싶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캐나다와 멕시코산 자동차에 대한 1개월 관세 면제를 연장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철강·알루미늄 관세도 조정하느냐"는 기자 질문에 "아니다.

조정하지 않는다.

그것들은 다음주에 발효한다"고 답했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