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성 KOTRA 사장, 6일 체코 프라하에서 ‘2025 유럽지역 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 주재

6일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2025 유럽지역 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앞줄 왼쪽에서 여섯 번째 강경성 KOTRA 사장, 다섯 번째 김현철 KOTRA 유럽지역본부장)

강경성 KOTRA사장이 지난 6일 체코 프라하에서 유럽지역 무역투자확대 전략회의를 주재했다.


강 사장은 이 자리에서 유럽지역본부와 24개 무역관장들과 함께, 수출·투자협력 관련 현안을 점검하고 새로운 기회를 찾는 데 집중했다.

특히 강 사장은 유럽이 직면한 복합 위기 속에서 생겨나는 현장 변화를 우리 기업 진출 기회로 기민하게 연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럽은 세계 2위의 경제 규모를 가진 거대 시장이다.

자동차, 기계, 제약, 항공 등 제조업 분야에서 글로벌 리딩기업도 다수 보유하고 있다.


올해 유럽은 물가완화와 금리인하에 따른 소비·투자 활성화가 기대된다.

이에 KOTRA도 유럽이 직면한 공급망·에너지·지정학 이슈를 살펴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KOTRA는 특히 미래차 전환을 서두르는 현지 글로벌 자동차 선도기업과 항공·반도체 분야 주요 기업들의 변화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다.

공급망 다변화를 꾀하는 현지 수요를 빠르게 포착해 우리 기업들의 진출 기회로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유럽의 에너지 공급 불안으로 원전의 역할도 재조명되는 추세다.

KOTRA는 유럽의 에너지 전환 동향 조사, 협력 수요 발굴, 수주지원까지 전주기 지원체계를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유럽은 에너지 공급 불안 속에서 신규·노후화 원전 유지보수를 추진하고 있다.

KOTRA는 이를 주목해 신규 원전건설 계약이 임박한 체코를 중심으로 유럽 각국의 원전 프로젝트 수주를 지원할 계획이다.


소비재 분야에선 체험·문화 마케팅을 통해 보수적인 유럽 소비시장을 공략한다.

방산의 경우 방산무기 수주 모멘텀을 활용해 후속 시장을 공략하고 방산 소부장 등 수출 품목도 다변화할 계획이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글로벌 통상환경이 급변하는 지금이 바로 보수적인 유럽시장에 진출할 적기”라며 “유럽 내 공급망 재편, 에너지·지정학 리스크 대응 등 복합 이슈를 극복하기 위한 협력 수요를 적극 활용, 우리 기업의 수출 성과로 연결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