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 통화
“USMCA 해당시 4월2일까지 면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 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대부분의 상품에 대해 ‘25% 관세 부과’를 한 달간 유예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멕시코에 미국·캐나다·멕시코 협정(USMCA)에 해당하는 모든 상품에 대한 관세를 요구하지 않는 데 나는 동의했다”면서 “이는 4월 2일까지 유효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 통화한 뒤 이 글을 올렸다.


그는 SNS에서 멕시코에 대한 추가 관세 유예 조치에 대해 “나는 이것을 셰인바움 대통령에 대한 존경하는 마음으로 했다”라면서 “우리 관계는 매우 좋으며 우리는 불법 이민·펜타닐의 유입을 중단시키기 위해 국경 문제에 대해 함께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셰인바움 대통령도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글을 리트윗하며 “우리는 매우 훌륭하고 존중이 담긴 통화를 했다”며 “양국의 주권을 존중하는 틀 안에서 우리의 노력과 협력이 전례 없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것처럼 USMCA 적용을 받는 모든 제품은 멕시코가 관세를 부담할 필요가 없다”며 이 같은 합의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가 이뤄지는 4월 2일까지 유효하다고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캐나다·멕시코와의 무역협정(USMCA)이 적용되는 자동차에 이어 USMCA가 적용되는 상품에 대한 대(對)멕시코 관세를 한시적으로 면제한다고 발표했던 바 있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경제매체 CNBC에 출연해 멕시코뿐만 아니라 캐나다에 대한 관세에서도 USMCA상 제품·서비스는 한 달간 예외 될 것으로 내다봤다.

러트닉 장관은 추가 유예 조치가 현실화할 경우 미국이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하는 물건의 절반 이상이 관세 면제 대상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이날 SNS에서 멕시코만 언급했으며 관세 유예 대상으로 캐나다는 거론하지 않았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 글에 앞서 올린 별도의 글에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에 대해 “쥐스탱 트뤼도는 끔찍하게 일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총리직에 출마하기 위해 관세 문제를 이용하고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전날 트뤼도 총리와 통화에서도 캐나다가 펜타닐 문제 대응에 충분하게 하지 않고 있다면서 총리직 사임 의사를 밝힌 트뤼도 총리가 미국의 관세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 이 통화가 우호적이라고 언급했지만, 두 사람 간 통화에서는 욕설도 나왔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이날 보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