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이사가 4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가 열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인공지능(AI) 시대 청사진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 LG유플러스] |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이용자 중심의 기술 확보에 주력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안심(Assured), 개인화(Adaptive), 동반자(Accompanied), 이타적(Altruistic)을 핵심 키워드로 제시했다.
4일(현지시간)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LG유플러스의 AI 비전과 로드맵을 발표했다.
LG유플러스는 AI 시장의 변화를 주도하고 AI 기술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예방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고객이 안심(Assured)하고 쓸 수 있는 AI 기술에 집중해 이를 토대로 고객에게 딱 맞는(Adaptive)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어 고객의 모든 일상을 함께 하는(Accompanied) AI를 거쳐 궁극적으로는 세상과 인류를 밝게 만드는(Altruistic) AI를 구축해 가겠다는 전략이다.
홍 사장은 “
LG유플러스는 AI 기술 자체보다는 AI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집중하는 ‘사람 중심 AI’를 지향한다”며 “며 ”가장 중요한 출발점은 안심 지능(Assured Intelligence)이고, 고객이 안심하고 쓸 수 있는 AI를 만들기 위해서 우리의 근본적인 생각의 프레임을 바꿔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부분의 기업이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 때 보안은 마지막에 방어적 점검을 하고 있는데,
LG유플러스는 이 순서를 완전히 뒤집어 보안 중심의 토대를 쌓는 것부터 시작하는 혁신이 필요하다”며 “보안을 최우선으로 하면서도 서비스 개발의 속도는 줄어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LG유플러스는 이번 MWC 2025 전시부스에서 AI 분야의 보안 기술인 ▲조작 음성 탐지 기능 안티딥보이스(Anti-DeepVoice) ▲개인정보를 입력해도 외부 유출이 안 되는 온디바이스 소형언어모델(SLM) ▲양자암호기술(PQC) 등을 선보였다.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업도 강화한다.
LG유플러스는 최근 구글·구글클라우드와 업무 협약을 맺고 구글의 AI 비서 제미나이와
LG유플러스의 AI 비서 익시오를 연결하는 동시에 익시오의 해외시장 진출을 결정했다.
아마존웹서비스(AWS)와도 힘을 합친다.
소버린 AI 도입과 AI 콘택트센터(AICC) 건설 사업을 함께한다.
AI 전환 컨설팅을 위한 AI 이노베이션 센터도 공동 운영하기로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