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한경협 10년 만에 한자리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과의 민생경제간담회에서 류진 회장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일 국회에서 류진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회장을 비롯한 한경협 지도자들을 만나 경제 현안을 논의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민생경제 간담회에 참석해 “기업들이 험악한 경쟁을 제대로 뚫고서 대한민국 국부 창출에 기여하는 큰 성취를 이뤄달라”면서 “정부나 정치권에서 불필요하게 기업에 장애요인을 만드는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과거처럼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것이 아닌, 공정한 환경 속에서 공정하게 경쟁해 세계로 시장을 넓혀가야 한다”며 “정치권도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또한 “민주당과 한경협이 공개적으로 만나는 게 10년 만이라고 한다.
우리 당내에서도 한경협을 만나면 안 된다고 일부에서 성명서도 냈다”면서 “그러나 전쟁 중인 적군도 만나는데 대한민국 경제의 일익을 담당하고 경제발전의 중추 역할을 하는 기업을 못 만날 이유가 어딨나”라고 반문했다.
민주당 대표와 한경협의 만남은 지난 2015년 9월 당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전신) 대표가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한경협 전신) 회장과 자리한 이후 처음이다.
이 대표는 “지향하는 바가 다를 수 있지만, 다 함께 잘되자는 것이지 누군가의 것을 뺏자고 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되면 되는대로, 안되는 건 안 되는 대로 필요하면 대화하고 조정하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논란이 된 자신의 ‘한국판 엔비디아 지분 소유구조’와 관련해서도 발언을 이어갔다.
이날 오전 이 대표는 그래픽 저장장치(GPU) 10만장이 5조원 정도 드는 것을 예로 들며 “대규모 투자를 민간 기업이 감당할 수 없어 국제 경쟁에서 문제가 되면 국부펀드나 새로 만들어질 수 있는 국민펀드 등의 형태로 온 국민이 투자하고 그 성과를 나눌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대표는 한경련과의 자리에서도 “논쟁이 되기도 했는데, 개별기업이 감당하기 어렵거나 위험성이 높은 투자의 경우 국부펀드든 국민펀드든 국가적 차원의 투자를 할 길을 열어야 한다”며 “경제계에서도 국가 투자를 늘려달라고 요청했는데, 그런 문제를 앞으로 상의하면 좋겠다”고 했다.
류 회장은 이 대표 발언 후 “(민주당과의 만남이) 10년 전이라고 했지만, 그 10년이 너무 길었다”면서 “오랜만에 만나니 옛날에 차였던 여자친구를 다시 만나는 느낌”이라고 전해 참석자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이어 “우리 경제가 위기라는 덴 아무도 이견이 없을 것”이라면서 “인공지능(AI) 혁명과 반도체 혁명으로 세계 경제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고, 미국 트럼프 행정부도 전방위적으로 세계 각국을 압박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버팀목이던 수출도 난관”이라며 “이 대표께서 올해 신년 기자회견에서 ‘다시 성장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했는데 적극 공감한다.
해법은 성장이며, 성장의 마중물인 기업의 투자가 살아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 회장은 “대한민국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된 기업가 정신도 살려내야 한다.
산업의 불모지에서 삼성, 현대 같은 글로벌 일류 기업이 탄생한 것도 기업가 정신을 빼놓고 설명할 수 없을 것”이라며 “창업과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고 기업가 정신을 마음껏 발휘할 환경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이날 양측은 성장을 내세워 기업 투자 확대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다만, 상법 개정안을 비롯해 반도체법 주52시간 근무 예외 건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였다.
한경협은 상법 개정 부작용 및 문제점을 들어 이 대표에게 재고를 요청했지만, 이 대표는 “투자자들의 시장에 대한 불안감과 불신을 해소하지 않으면 기업 경쟁력을 높이기 어렵다”고 답한 것으로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이 백브리핑에서 전했다.
조 대변인은 반도체 52시간 예외 문제와 관련해서도 “일부 쟁점이 있지만 대타협의 물꼬를 텄으면 좋겠다는 한경협의 요청이 있었다”고 전달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