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왜 맞고 있지”...직격탄 맞은 한국기업들, 트럼프 관세 대응책 고심

기아, 차량 판매망 다각화
삼성∙LG, 생산 이전 추진

멕시코 누에보 레온 주 페스케리아 시의 기아차 공장 [AFP = 연합뉴스]
미국이 4일(현지시간)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면서 이들 지역에 생산기지를 둔 한국 기업에 비상이 걸렸다.

기아삼성전자, LG전자, 포스코 등 200여 개 한국 기업이 멕시코에서 생산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이들이 생산하는 물량 상당수가 미국으로 수출된다.


멕시코 몬테레이에서 자동차 생산공장을 가동하고 있는 기아는 직격탄을 맞게 됐다.

기아는 몬테레이 공장에서 연간 생산하는 차량 25만여 대 가운데 15만여 대를 미국으로 수출한다.

이들 수출품에 25%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내에서 생산된 다른 브랜드 차량과의 가격 경쟁에서 밀리게 된다.

특히 미국에서 최근 판매를 시작한 차종인 K4는 물량 중 상당 부분이 멕시코에서 생산된다.


이 때문에 기아는 △미국 소비자에게 관세 부담이 전가되지 않도록 다른 방법으로 보전해주거나 △멕시코 생산 차량을 미국 외 남미 등 다른 나라로 수출하는 방법 △미국 내 생산 물량을 늘려 멕시코에서 들어오던 차량을 대신하는 방법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아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다양한 경우의 수를 가정해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마련했다”며 “다만 관세 부과 시점이 예상보다 일러 당혹스러운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멕시코 케레타로 공장 내 작업 모습 [사진 =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멕시코에서 이뤄지던 세탁기 생산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로 옮기는 방안 등을 추진하고 있다.

TV나 냉장고 등에 대해서는 멕시코가 아닌 다른 국가에서 생산한 물량을 미국에서 판매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 역시 멕시코 생산량을 조정해 미국 수출 물량을 다른 남미 국가로 돌리고 미국 내에서 소비되는 물량은 미국 내 공장이나 다른 국가에서 생산해 공급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있다.


멕시코에서 자동차 강판을 생산해 현대자동차·기아 등에 공급하던 포스코는 미국 내에 고로 또는 전기로 설비를 갖춘 철강 공장을 짓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제철도 미국 내 공장 용지를 물색하고 있다.

미국 내 생산공장을 지으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언급한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격’은 한국 철강 업계에 되레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와 별개로 이달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 수입품에 일괄적으로 25% 보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보편관세까지 시행되면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철강에는 관세율이 50%로 오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미국으로 수출되는 한국산 철강 제품은 보편관세 25%만 적용받게 돼 가격 경쟁력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철강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1기 때도 철강 관세로 미국 내수 가격이 많이 올라 관세를 내더라도 미국에 파는 게 이득이라는 이야기가 나온 적이 있었다”며 “다만 당시에도 가격 상승세가 길게 가진 않았기 때문에 관세 조치 후 미국 내수 가격 변동을 면밀히 살필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