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까지 AI 염불만 외울 건가?…간 보기 끝난 SK텔레콤, 수익화 본격 추진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진 = SK텔레콤]
SK텔레콤이 통신사 인공지능(AI) 연합인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GTAA)’ 총회를 개최하고 전방위적 협력 강화를 결정했다.


3일(현지시간) SK텔레콤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에서 팀 회트게스 도이치텔레콤 회장, 하템 도비다 이앤그룹 최고경영자(CEO), 위엔 콴 문 싱텔그룹 CEO, 타다시 이이다 소프트뱅크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SO) 등과 함께 GTAA의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회원사들은 글로벌 텔코 AI 라운드테이블에서 통신사 주도 AI 혁신 가속화를 위한 다양한 협업 가능성을 모색했다.

라운드테이블은 AI 네이티브 텔코로의 진화, AI와 파트너십을 통한 고객 경험 혁신, AI 인프라 청사진 등 총 3개의 세션으로 진행됐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는 대변혁의 시대를 맞아 통신사에도 전례 없는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되고 있다며 AI 서비스 확장을 위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국내·외 파트너사의 최신 기술 결집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앞서 SK텔레콤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AI 피라미드 전략 2.0’을 제시했다.

맞춤형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사업과 AI 에이전트 고도화, AI 기술 경쟁력 강화에 대한 청사진 등을 담았다.


먼저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구독형 AI 클라우드(GPUaaS) ▲소규모 모듈러 AI 데이터센터 ▲단일 고객 전용 AI 데이터센터 ▲하이퍼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 등 4개 사업 모델로 세분화했다.


SK텔레콤은 누구나 간편하게 AI에 접근할 수 있는 인프라를 조성한다는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를 실행 중이다.

지난해 12월 서울 금천구 가산 AI 데이터센터를 개소하고 구독형 AI 클라우드 서비스 GPUaaS를 론칭했다.

아울러 글로벌 빅테크와 국내에 100메가와트(MW)급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를 시행할 방침이다.

AI 데이터센터 구축의 모든 과정을 고객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솔루션 사업과 소규모 모듈러 AI 데이터센터 모델로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킬 예정이다.


AI 에이전트 사업은 올해 출시하는 AI B2B 에이전트 ‘에이닷 비즈’로 수익화 실현에 나선다.

회의 일정 체크, 회의실 예약, 회의록 작성·분석 등 일상 업무 전반에서 활약하는 ‘에이닷 비즈’와 세무, 법무, 인사 등 전문 영역에서 특화 기능을 제공하는 ‘에이닷 비즈 프로’로 구성된다.

AI B2C 서비스는 에이닷과 에스터가 핵심이다.


지난 2022년 자체 개발한 대규모언어모델(LLM) ‘에이닷엑스’는 연내에 ‘에이닷엑스 4.0’으로 고도화한다.

한국어 지식 성능이 강점인 고효율 한국어 특화 LLM으로 토크나이저 효율은 1.5배 이상 높다.

현재 에이닷엑스 호출 건수는 하루 5000만건을 돌파한 상태다.


유 대표는 “SK텔레콤의 AI는 탐색과 확산의 시기를 거쳐 실질적인 성과를 확보하는 시기로 전환하고 있다”며 “올해는 돈 버는 AI를 본격화하고 한국형 AI 생태계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