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백화점이 결혼한 남성들의 '자동 육아휴직' 기간을 국내 대기업 최초로 3개월로 확대했다.
이와 함께 임직원이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복지 혜택을 대폭 늘렸다.
기업 문화 개선과 업무 능률 개선을 위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와
카카오톡 택시까지 '생활밀착형 복지'를 강화하고 있다.
4일 롯데백화점은 이날부터 국내 대기업 최초로 남성 자동 육아휴직 기간을 기존 1개월에서 3개월로 확대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3일부터 법정 육아휴직 기간이 1년에서 1년6개월로 늘어난 가운데, 남성 육아휴직 제도를 선제적으로 개편한 것이다.
6개월 연장된 법정 육아휴직 제도를 적용받으려면 특정 자녀를 대상으로 부모 모두의 육아휴직 사용 기간이 3개월 이상이거나, 한부모 및 중증장애아동 부모여야 한다.
남성 육아휴직이 3개월로 늘어나야만 개정된 법령의 실
효성이 담보되는 구조다.
롯데백화점은 육아휴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해당 부서의 업무 공백을 방지하기 위해 신규 인원을 충원하거나, 업무 대행자에게 분담 수당을 지급한다.
업무 대행자는 인당 최대 60만원을 3개월에 나눠 지급받을 수 있다.
롯데백화점은 2017년 국내 대기업 최초로 남성 자동 육아휴직 제도를 도입했다.
이후 이 제도의 사용률은 100%를 기록 중이다.
시행 첫해인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육아휴직을 사용한 남성 임직원은 누적 기준 501명에 달한다.
정준호 롯데백화점 대표(사진)는 "일과 가정의 양립은 기업이 노력해야 할 가장 중요한 테마"라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육아 지원 정책으로 일하기 좋은 기업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롯데백화점은 이달부터 내부 복지 서비스 '웰페어 월렛(Welfare Wallet)'에 OTT 구독과
카카오톡 택시·선물하기 서비스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웰페어 월렛은 롯데백화점이 지난해 3월 도입한 일종의 사내 복지 프로그램으로, 월급과 별개로 직원 1인당 연간 최대 90만원이 지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복지포인트 크레디트를 직급별로 차등 지급하면 각자가 원하는 곳에 쓰는 방식이다.
롯데백화점은 이달부터
LG유플러스가 운영하는 구독 서비스 '유독'과 제휴를 맺고 유튜브 프리미엄·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티빙을 웰페어 월렛의 복지 크레디트를 활용해 구독할 수 있게 했다.
크레디트 사용처는 지난해 하반기 배달의민족·예스24티켓으로 확대됐다.
[박홍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