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자에도 기업회생 돌입...MBK파트너스 “홈플러스 정상화 백의종군 자세로 협력”

홈플러스의 기업 회생절차 개시와 관련해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백의종군의 자세로 회생법원 주도 하의 회생절차를 통한 홈플러스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협력을 다하겠다”고 4일 밝혔다.


홈플러스 강서 신사옥 . 홈플러스 제공
홈플러스의 최대주주인 MBK 파트너스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홈플러스의 회생절차는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향후 잠재적 단기 자금 부담을 선제적으로 경감해 홈플러스의 사업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기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현재 상황에서는 홈플러스의 임직원과 상거래처의 이익 보호가 가장 중요하다는 판단 하에 홈플러스 경영진의 회생절차 신청에 협력하기로 한 것”이라며 “이런 조치가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최선의 조치라 생각한다”고 했다.


서울회생법원은 이날 오전 홈플러스가 신청한 기업회생절차에 대해 개시 결정을 내리고 별도의 관리인 선임 없이 현재 홈플러스 공동대표 체제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홈플러스는 이날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8일 한국신용평가(한신평)가 홈플러스의 기업어음 및 단기사채 신용등급을 기존 A3에서 A3-로 한 단계 하향하며 단기 자금 운용에 차질이 생긴 영향이다.


한신평은 “이익창출력이 약화됐으며 단기간 내 유의미한 실적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장기 사업 경쟁력에 대한 불확실성도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MBK파트너스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유통업 특성상 대규모 매입대금을 월 1회 일괄 지급하는 반면, 매출대금은 매일 들어오는 구조다.


이로 인한 자금 흐름의 불균형을 보완하기 위해 매입·영업대금 유통화 및 단기 기업어음을 발행해 운전자금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신용등급이 갑자기 강등되면서 단기 자금 운용에 차질을 빚게 됐다.

일반적으로 자본시장에서 A3- 이하 등급의 기업이 발행하는 단기 채권에 대한 투자 수요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회생절차가 개시되면 금융채권 상환은 유예되지만, 협력업체와의 일반적인 상거래 채무는 회생절차에 따라 전액 변제되며 임직원 급여도 정상적으로 지급될 예정이다.


홈플러스는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이 지난 1월 31일 직전 12개월 기준 2374억원으로 흑자를 보이고 있어, 이번 회생결정으로 금융채권 등이 유예돼 금융부담이 줄어들면 향후 현금수지가 대폭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매출 대부분이 현금으로 이루어지는 유통업 특성 상 한 두 달 동안 약 1000억원의 잉여현금이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 1월 31일 기준 직전 12개월의 매출과 부채비율은 각각 7조 462억 원과 462%로, 전년 대비 매출은 2.8% 신장했고, 부채비율은 1506% 감소했다
MBK 관계자는 “점포 임차료를 부채로 잡은 리스부채를 제외하고 운영자금차입을 포함한 홈플러스의 금융부채는 2조 원”이라며 “금융 부채 중 상당수는 감정평가기관들에서 평가한 4조 7000억 원에 이르는 홈플러스의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하고 있어 부실화될 가능성이 극히 낮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