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2500달러 시장 장악
TCL 등 중국산 점유율 미미
 |
삼성전자가 글로벌 TV 시장에서 19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한국 기업이 압도적인 우위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00달러 이상 고급 TV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출하량과 매출 기준으로 8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영국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2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50.5%,
LG전자는 30.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반면 중국 주요 브랜드인 TCL과 하이센스의 점유율은 각각 1%와 0.5%에 불과해 한국 기업이 전체 시장에서 81.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기준으로도 한국 기업 점유율은 2021년 64.4%에서 2022년 70.2%, 2023년 78.3%, 2024년 80.1%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LG전자는 2023년 19.1%에서 2024년 31.1%로 12%포인트 증가하며 시장 지배력을 강화했다.
매출 기준으로도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지난해 4분기 2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시장에서 각각 50.7%, 30.2%를 기록해 양 사 합계 점유율이 80%를 넘었다.
연간 매출 기준으로는
삼성전자 49.6%,
LG전자 30.2%, 소니 15.2%, TCL 1.6%, 하이센스 0.9% 순으로 조사됐다.
프리미엄 TV 시장의 기준을 1500달러 이상으로 넓혀도 한국 기업의 우위는 여전하다.
지난해 4분기 출하량 기준으로
삼성전자는 51.4%,
LG전자는 22.2%를 기록해 두 기업이 합쳐 점유율 73.6%를 차지했다.
반면 TCL은 3.8%, 하이센스는 2.5%에 그쳤다.
연간 기준으로도
삼성전자 50.9%,
LG전자 23.8%로 총 74.7%를 차지한 반면, TCL과 하이센스는 각각 3.9%, 1.7%에 머물렀다.
한편 최근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가 발표한 자료에서 TCL과 하이센스가 패널 기준으로 프리미엄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는 결과를 내놓자, 업계에서는 데이터 왜곡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가격이 아닌 패널 종류를 기준으로 OLED, 미니 LED뿐만 아니라 QD-LCD까지 프리미엄으로 분류하면서 1000달러 이하 제품도 포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43·50·55형 TCL과 하이센스의 QD-LCD TV는 미국 베스트바이에서 200~400달러대에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전업계 관계자는 “패널 종류를 기준으로 한 프리미엄 TV 분류 방식은 시장과 소비자의 인식을 왜곡할 수 있다”며 “프리미엄 시장의 대표적 기준인 가격을 무시한 채 분석하는 것은 제품의 포지셔닝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