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타깃'이 된 국가들이 미 행정부의 '기준점'을 맞추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합성마약 펜타닐과 불법이민자의 미국 유입을 막지 못했다는 이유로 25%의 관세 부과를 예고한 멕시코는 옛 마약 밀매 조직 두목을 포함해 29명의 수감자를 미국으로 전격 인도했다.
멕시코 검찰청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오늘 전국 여러 교도소에 수용돼 있던 29명이 미국으로 이송됐다"며 "이들은 마약 밀매 등 범죄를 저지른 조직과의 연관성으로 (미 당국의) 수배 대상이었다"고 밝혔다.
멕시코 검찰은 공식적인 범죄인 인도가 미국 법무부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범죄인 인도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이후 협상 과정에서 발표된 만큼, 과세를 막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이날 멕시코 외교·안보·국방 장관은 미국 워싱턴을 찾아 미국 측 카운터파트와 양국 국경지대를 중심으로 한 보안 강화 협력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달 초 미국에서 개최한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관세와 관련해 핀잔을 받았던 인도도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해 자동차·화학제품 등에 대해 관세를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관세 인하 검토 대상에는 일부 농산물과 주요 의약품, 특정 의료기기·전자제품 등도 포함된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