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
스맥스·극지연구소 MOU
극저온·극건조 환경 사는 미생물 찾아
피부효능 물질 발굴·상업화
 |
지난 26일 인천시 송도 극지연구소에서 열린 공동연구 협약식에서 강승현 코스맥스비티아이 R&I센터 부원장(왼쪽)과 신형철 극지연구소 소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코스맥스> |
화장품 연구·개발·생산(ODM) 기업 코
스맥스가 남극 미생물을 활용한 화장품 개발에 나선다.
코
스맥스그룹은 지난 26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와 ‘극지 유용 미생물 자원 발굴 및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강승현
코스맥스비티아이 R&I센터 부원장과 신형철 극지연구소 소장 등이 참석했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남극 미생물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코
스맥스는 2011년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시작해 업계 최고 수준의 생물자원 활용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사람뿐만 아니라 토양 등 다양한 미생물 연구를 진행해 현재까지 3000여 종 이상 미생물을 확보했다.
미국 하버드대 의과대학, 중국 푸단대 등과 공동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극지연구소는 남극세종과학기지와 북극다산과학기지, 쇄빙연구소 아라온호 등 극지연구 기반시설을 운영하는 정부 출연연구기관이다.
코
스맥스는 연구소와 함께 극지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생명력을 연구하면 이 특성을 직·간접적으로 활용해 다양한 피부효능 물질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극지 미생물은 온도가 매우 낮거나 건조한 환경 등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생리적 특성을 가졌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에 따라 극지 미생물 자원을 발굴해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고, 극지환경 노출에 따라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이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 연구할 예정이다.
또 극지 바이오 기반 기술 개발 성과물 산업화에도 공동 협력한다.
신형철 극지연구소장은 “극지에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여러 생물과 유용한 생물자원이 많다”면서 “이번 MOU를 통해 극지 연구성과가 화장품 등 국내 산업에 긍정적인 활력소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승현
코스맥스비티아이 R&I센터 부원장은 “극지연구소와 이번 협약을 통해 바이오 자원을 이용한 K뷰티 소재 개발의 새 장을 열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