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 마련도 맹모삼천지교”…명문 학군지 따라 아파트값 강세

동래 반도 유보라 투시도. [사진 출처 = 반도건설]
3040세대가 주택시장의 주요 수요층으로 떠오르면서 명문 학군을 갖춘 지역의 아파트가 꾸준한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26일 분양·아파트 업계에 따르면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 기준 지난해 거래된 49만252가구의 아파트 중 30대 매입 비중은 26.6%(13만973건)으로 집계됐다.

이어 40대가 12만8920건(26.2%), 50대 10만5013건(21.4%)으로 나타나면서 3040세대의 비율이 52.8%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지역 내 명문 학교와 학원가가 밀집된 학군지의 선호가 두드러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의 대표적인 학군지는 강남 대치동, 양천구 목동, 노원구 중계동이지만, 지방에도 못지않은 학군지가 주목받고 있다.

부산 동래구, 대구 수성구, 대전 서구, 광주 남구 등의 지역 내 단지들이 지역 내 평균 집값을 크게 웃돌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특히 지방의 경우 최근 의대 증원 소식이 전해지면서 명문 학군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는 평가다.

지방 의대 26개 학교는 2025학년도 지역인재전형(비수도권 대학이 있는 권역에 소재한 고등학교를 3년 동안 다닌 학생만 지원할 수 있는 제도) 선발 인원은 지난해 평균 50%에서 59.7%로 늘리기도 했다.


부동산R114 조사 결과 부산의 전통 학군을 품은 동래구의 경우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553만원으로 부산 평균(1403만원)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 수성구와 광주 남구는 3.3㎡당 각각 1628만원, 1184만원으로 대구와 광주에서 자치구 중 제일 비싸며 대전 서구도 1354만원으로 대전 평균(1262만원)보다 웃돌았다.


올해도 학군지 주변에서 새 아파트들이 분양을 앞두고 있다.


에쓰앤디가 시행하고 반도건설이 시공하는 ‘동래 반도유보라’가 오는 3월 분양 예정이다.

부산 동래구 낙민동 일대에 위치한 해당 단지는 지하 3층~지상 42층, 3개 동, 전용 84㎡, 총 400가구 규모다.

단지 인근에 낙민초, 동신중, 동래고, 학산여중·고 등이 있어 자녀들의 교육 환경이 우수하다는 평가다.


울산에서는 이달 동부건설이 ‘문수로 센트레빌 에듀리체’를 분양한다.

지하 3층~지상 35층, 4개 동, 전용 84㎡, 총 368가구 규모로 신정초, 학성중, 울산서여중, 울산여고, 신정고 등 명문학군은 물론 울산 최대 학원가인 옥동·신정동 학원가도 가깝다.


이 외에도 상반기에 대구 수성구에서는 대구MBC 부지에 포스코이앤씨가 752가구 분양을 예정하고 있으며 광주 남구에서는 태영건설이 565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명문학군은 교육을 중시하는 3040세대에게 최우선 선택지가 될 수밖에 없다”며 “이들 지역은 교육환경과 생활 인프라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 앞으로도 꾸준한 수요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