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근 부동산 서비스에 올라온 서울 강남구 아파트 매물 이미지. [사진 출처 = 당근 갈무리] |
85억원. 중고 물품 온라인 거래 플랫폼인 ‘당근’에 올라온 부동산 매물 가격이다.
최근 ‘당근’을 통해 부동산을 사고파는 이들이 늘고 있다.
높게는 30억원부터 80억원까지의 고가 매물들도 속출하고 있다.
이와 함께 허위매물 우려 피해도 함께 높아지면서 한국부동산원은 당근 부동산 거래에 대한 모니터링을 확대하기로 했다.
25일 공공기관 알리오 국회지적사항에 따르면 한국부동산원은 오는 상반기 중 당근마켓 공인중개사 매물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과 시범 모니터링을 추진하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상에 게재된 부동산 허위매물 모니터링 수행과 관련해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등 제도적 문제점이 존재한다는 지적이 잇따른 데 따른 것이다.
부동산원은 지난 1월 오피스텔 매물 등 다수 광고 중인 직방에서의 허위매물 모니터링 확대를 시행한 데 이어 당근 공인중개사 매물 모니터링 시스템 정식 운영 목표로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API) 시스템 개발 중이다.
현재 부동산원이 검증하고 있는 매물은 일평균 약 370만개 수준이다.
부동산원은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개선에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당근마켓을 통한 부동산 거래 서비스는 빠른 거래 성사와 중개수수료 절감 등이 가장 큰 장점으로 빠르게 입소문을 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종군 의원(더불어민주당)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7월 당근을 통한 부동산 거래는 3만4482건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 7094건, 2023년 2만3178건에서 크게 늘어난 수준이다.
다만 허위 매물을 올려 다른 매물로 유도하거나 계약금을 받은 뒤 연락이 두절되는 ‘먹튀’ 등의 사기 수법도 증가해 왔다.
국토교통부가 직거래 플랫폼인 당근마켓, 복덕빵, 번개장터, 중고나라 등에 게시된 부동산 매매·전월세 광고를 지난해 11월부터 4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500건 중 104건(20.8%)이 공인중개사법 위반 의심 광고였다.
직거래를 가장해 무자격자가 중개대상물 광고를 올린 ‘광고주체 위반’이 94건으로 위반 의심 광고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부동산원은 오는 하반기 네이버 부동산 허위매물 모니터링 대상을 연립·다세대까지 확대해 공동주택 전체에 대한 모니터링을 추진할 계획이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허위매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모니터링 대상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부동산 직거래 허위매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배포·권고했다.
이에 따라 이달부터 당근마켓은 부동산 매물 등록 시 실명 인증을 도입하기로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