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현지시간) 취임 한 달째를 맞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적은 말 그대로 '속도전'이었다.


이날까지 백악관이 홈페이지에 게시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각서(메모랜덤)·포고문은 모두 118개에 달한다.

실제 서명한 행정명령이 홈페이지에 오르지 않은 사례를 포함하면 이보다 많은 문서가 한 달간 그의 손을 거쳐갔다.


트럼프 대통령의 파격적 행보는 '한 번 믿으면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그의 용인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연방정부 슬림화, 두 개의 전쟁 종식, 무역 시스템 재편과 같은 굵직한 의제들은 그의 측근 그룹이 실행을 담당하고 있다.


우선 지난 한 달 동안 가장 많은 관심을 끌었던 주인공은 단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다.

머스크가 수장을 맡게 된 정부효율부(DOGE)는 미국 공직사회에 '쇼크'를 불러일으켰다.

그는 미국 국제개발처(USAID)를 타깃으로 삼아 전체 인력 1만명 중 대부분을 해고하는 걸 주도했고 소비자금융보호국(CFPB) 폐지에 나서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논의했던 지난 18일 미국·러시아 간 고위급 회담에서 스티브 위트코프가 주목을 받았다.

그는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마이클 왈츠 국가안보보좌관과 함께 협상 테이블에 앉았다.

그는 중동특사직을 맡았지만 미·러 회담에 참석하며 임무의 영역을 넓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관련 행정명령 서명식이 있을 때마다 그의 곁에 섰던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도 빼놓을 수 없는 인사다.

그는 상무장관으로서 '글로벌 관세전쟁'의 선봉장으로 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다양한 형태로 관세 관련 조치를 내놓았다.

그가 '상호 관세'를 발표할 때 러트닉은 백악관 오벌오피스(집무실)에 함께 있었다.

'트럼프의 심복'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향후 한 달에 있어 '키맨'이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 공약을 실현하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을 이뤄낼 미션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서 "하원의 법안은 나의 완전한 미국 우선주의 의제를 부분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아우르고 있다"고 언급했다.

존슨 의장은 예산조정 법안에 감세 공약과 국경 강화등을 넣기 위해 분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공약의 현실화가 존슨 의장 리더십에 달려 있는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한 달은 취임 이후 100일은 지났다는 착각이 들 정도로 전격적인 조치가 이어졌다.

앞으로의 한 달도 속도전은 연속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을 담은 법안 통과는 트럼프 정부의 향방을 가를 분수령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최승진 워싱턴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