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속도를 내는 듯했던 서울 종로구 창신동 남측 재개발 사업이 또다시 벽에 부딪혔다.
20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종로구청은 지난해 말 '창신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구역 변경 및 정비계획 변경안'을 공람 공고했다.
변경안 중 핵심은 창신1·2·3·4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중 소단위 정비·관리 방식이었던 1구역과 2구역을 각각 일반정비형 구역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구역은 기존 11개 소규모 단위로 나눠 개발하던 것을 2개로 합쳐 재편하는 방식이다.
2구역 내부에서 4개로 나뉜 단위 구역도 하나로 합쳤다.
창신1·2·3·4구역은 청계천을 따라 흥인지문(동대문)에서 동묘앞역에 이르는 한양도성 내 일반상업지구다.
일대 용지만 10만㎡가 넘는다.
문제는 서울시가 2022년 4월 창신동 1·2·3·4구역을 소단위 정비 방식을 활용해 정비구역으로 이미 지정했다는 점이다.
문화재인 흥인지문을 끼고 있어 앙각 규제를 받는 특성을 고려한 데다 쪽방촌이 있어 통합 개발이 쉽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서울시 고시에 맞춰 1-6구역, 1-9구역, 1-10구역 등 일부 구역은 개발 사업을 추진했다.
이 같은 상황은 2022년 7월 정문헌 종로구청장(사진)이 취임하면서 급변했다.
정 구청장은 선거 당시 창신동에 '강북의 코엑스' 같은 대규모 상업시설을 건립하겠다고 공약했다.
이후 종로구청은 창신동 1~4구역을 통합 재개발로 변경하는 방안을 추진했고, 결과가 작년 하반기에 나왔다.
그동안 지자체의 인허가 작업은 사실상 중단됐다.
창신동은 2007년 창신·숭인동이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돼 2010년부터 재정비사업을 추진하던 중 2013년 서울시의 뉴타운 출구 전략으로 직권 해제돼 개발이 무산된 바 있다.
1호선 동대문역~동묘앞역 노선을 기준으로 북쪽 지역은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도시재생 1호 선도지역'으로 선정되면서 '벽화 그리기' 논란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남측 지역은 뉴타운에 찬성했던 소유주를 중심으로 재개발 요구가 꾸준했고 2022년 사업이 재개됐다.
하지만 3년 전에 통과한 정비계획을 종로구청이 갑작스럽게 변경하면서 다시 발목이 잡히는 모양새다.
재개발을 추진 중이던 토지 소유주들이나 시행사들의 반발은 계획 공개 이후 더 심해진 양상이다.
구청 방안대로 통합 재개발을 추진할 경우 주민 동의를 얻기 어려워 사업 진행이 더 어렵다는 것이다.
구역마다 정비기반시설 부담이 20~30%가량 늘면서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 구역에서 재개발 사업을 추진 중인 소유주 A씨는 "소단위 구역인데도 사업 동의를 다 받는 데 2년 가까이 걸렸는데, 통합 재개발로 하면 10년도 더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한 시행사 관계자는 "도로 폭 확대나 공원 조성 등과 같은 기존 계획에 없던 기반시설까지 포함돼 있어 사업을 진행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손동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