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번영로 롯데캐슬 센트럴스카이 조감도. [사진 출처 = 롯데건설] |
주차 걱정 없는 아파트가 쾌적한 주거단지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자동차 보유 대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에서 단지 내 주차 갈등을 피할 수 있어서다.
2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자동차 등록 대수는 2629만7919대로 지난 2023년(2594만9201대)에 비해 35만여 대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차종별로는 승용차가 2177만1000여 대, 승합차가 66만6000여 대로 국내 총가구 수(약 2200만)를 넘어섰다.
반면 법정 주차대수 기준은 전용면적 60㎡ 이하인 주택의 경우 가구당 0.7대여서 아파트 단지 내 주차난 발생 요인으로 꼽힌다는 설명이다.
특히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같은 폭이 큰 차들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기존 주차 공간 기준을 적용한 구축 아파트에서는 문콕 사고와 접촉 사고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하 4~5층까지 주차 공간을 확보하거나 중대형 차량도 주차하기 쉽고, 여유 공간이 확보되는 확장형 주차시스템을 적용하는 단지가 주목받는 이유다.
일례로 서울 강동구 ‘고덕 아이파크’는 지난 2011년 말 준공 아파트로 서울에서 보기 드물게 가구당 1.77대로 여유로운 주차 공간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이 아파트의 최근 시세는 3.3㎡당 평균 4667만원으로 고덕동 평균(4229만원)을 웃도는 수준이다.
울산 대전 등 광역도시에서도 주차 공간을 확보한 아파트 단지가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롯데건설이 울산 학산동 복산육거리 근처에 분양 중인 ‘번영로 롯데캐슬 센트럴스카이’는 지하 5층, 지상 최고 49층 규모에 가구당 1.41대의 주차공간을 확보된다.
DL건설이 대전 중구 문화동에 공급 중인 ‘e편한세상 서대전역 센트로’는지하 2층~지상 최고 29층 749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주차대수는 1016대로 가구당 1.35대로 설계됐다.
업계 관계자는 “지하 주차장은 신축 아파트와 구축 아파트의 차이점이 극명하게 나타나는 곳 중 하나”라며 “여유 있는 공간 설계에 안전하고 편리한 주차시스템이 적용되는 추세”라고 짚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