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김제영 CTO, “건식전극 기술로 LFP 시장 판도 바꿀 것”

중국이 장악한 LFP 배터리
건식 기술 적용해 28년 양산
기술혁신과 특허전략으로
미래 배터리 산업 선도

“배터리 제조의 초격차 기술인 건식전극공정을 통해 중국 주도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 판도를 바꿔 나가겠다”
김제영 LG에너지솔루션 CTO 전무(사진)가 20일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배터리 재팬 2025’ 행사 기조 연설자로 참석해 “기술혁신과 특허전략으로 미래 배터리 산업을 선도할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김 전무는 “건식 전극으로 LFP 배터리를 구현하면 비용이 적게 드는 반면 에너지 밀도는 한층 더 높일 수 있다”며 “균일성, 연속성, 물성 등 건식공정 분야에서 400개가 넘는 탄탄한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건식전극 기술은 배터리 제조 공정 중 양극과 음극을 만드는 전극 공정을 기존 습식이 아닌 건식으로 진행하는 방식이다.

공정 중 액체 형태로 제조하는 중간물질(슬러리) 대신 고체상태의 파우더를 이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습식 공정에 필요한 용매 건조 과정이 없어져 생산 속도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용매를 건조·회수하는 설비가 필요 없기 때문에 설비 투자 감소와 제조 공간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 배터리 밀도를 높일 수 있어 한번 충전에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크게 늘릴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손꼽힌다.


김 전무는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은 건식전극 기술에서 누구보다 앞서있다”이라며 “올해 오창 에너지플랜트 파일럿 라인에서 양산성을 확보하고, 2028년 이 공정을 도입한 제품을 본격 양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현재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장악한 LFP 배터리 시장에서 건식전극공정 경쟁력을 확보한다면 가격과 성능이란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시장 구도 재편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김 전무는 LG에너지솔루션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차세대 배터리에 대한 청사진도 밝혔다.

김 전무는 “전고체 배터리의 경우 독자적인 소재기술을 확보해 2030년 이전 양산을 목표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무게 대비 높은 에너지 밀도와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리튬황 배터리는 미래 항공기술인 도심항공교통(UAM)과 고고도 플랫폼 (HAPS) 등 용도로 개발 중이다”고 밝혔다.


지속적인 혁신을 위한 특허 확보 경쟁력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김 전무는 “LG에너지솔루션은 소재와 미래기술, 공정, 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 이르는 전 기술 분야에서 현재 등록기준 3만7874개, 출원기준 6만8158개에 달하는 압도적인 특허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며 “연구개발(R&D) 경쟁력 증대와 기술 제품 혁신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완성해 나갈 방침이다”고 밝혔다.


한편 배터리 재팬 행사는 매년 일본에서 개최되는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이차전지 전시회다.

배터리 기술, 소재, 부품, 제조장비 등 다양한 배터리 관련 기술들을 선보이고 배터리 전문가들이 참석해 기술 정보를 공유하는 자리다.


김제영 LG에너지솔루션 CTO 전무가 20일 일본 도툐 빅사이트에서 열린 ‘Battery Japan 2025’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김제영 LG에너지솔루션 CTO 전무가 20일 일본 도툐 빅사이트에서 열린 ‘Battery Japan 2025’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김제영 LG에너지솔루션 CTO 전무가 20일 일본 도툐 빅사이트에서 열린 ‘Battery Japan 2025’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