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준법감시위원장 “검찰 상고 아쉬워...이재용 회장, 등기임원 복귀 필요”

이찬희 삼성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18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열리는 삼성 준감위 회의에 참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출처 = 삼성전자]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에 대한 검찰의 대법원 상고에 대해 “아쉬움이 있다”고 18일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사옥에서 열린 준감위 정기회의에 참석하며 취재진과 만나 “검찰도 많은 고민이 있겠지만, 때로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용기 있는 선택을 할 필요도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이 위원장은 “대한변호사협회장을 역임한 법조인으로서 우리 사법부를 전적으로 신뢰한다”며 “조만간 신속하고 현명한 판결로 경제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게 영역을 만들어줄 거라고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 회장은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 합병 의혹’ 사건과 관련해 1심·2심 모두 무죄 판결을 받았다.


하지만 지난 3일 검찰이 상고를 결정하면서 사법리스크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이 위원장은 또 이날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가 또 불발된 것과 관련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를 통한 책임 경영을 조언하는 이유 중 하나는 지금 나오는 삼성에 대한 많은 의견을 전할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비록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가 불발됐지만, 책임경영 강화를 위해 등기이사 복귀가 필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짚은 것이다.


검찰이 대법원에 상고하며 사법리스크가 온전히 해소되지 않은 만큼 이사회 복귀 시점이 연기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 4대 그룹 총수 중 미등기임원은 이 회장이 유일하다.


준감위는 삼성이 현재 대내외적으로 위기 상황에 놓인 만큼 컨트롤타워 재건과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가 시급하다고 보고 있다.

이에 지배구조 개편을 핵심 과제로 추진하며 그룹 컨트롤타워 부활 등 현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