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2시간제 도입으로 기업 연구부서 4곳 중 3곳의 연구개발(R&D) 성과가 줄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도체·인공지능(AI) 등 핵심 산업 기술 혁신이 절실한 때인 만큼 R&D 분야에서라도 노사 자율 합의를 기반으로 근로시간을 유연하게 조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함께 기업부설연구소·연구개발 전담부서를 두고 있는 500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주52시간 제도가 기업 연구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기업 연구부서의 75.8%가 주52시간제 도입으로 '연구개발 성과가 줄었다'고 답했다.
혁신성이 저하된 연구개발 분야로는 신제품 개발이 45.2%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기존 제품 개선(34.6%), 연구인력 역량 축적(28.5%), 신공정 기술 개발(25.3%) 등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조사 대상 기업의 53.5%는 주52시간 제도로 '연구개발 소요 기간이 늘었다'고 답했다.
주52시간 제도의 대응책으로 시행되고 있는 현행 유연근로시간제는 기업의 37.8%만이 도입하고 있다고 응답해 제도 활용 측면에서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R&D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가장 적합한 근로시간제로 '노사가 합의를 통해 자율적 근로시간 관리'(69.4%)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연구개발 업무라도 추가 8시간 연장근로 허용(32.5%), 연장근로 관리를 1주에서 월·분기·반기·연 단위로 합산 관리(23.4%)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정지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