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더 오른다…‘제로에너지’ 인증 의무화로 공사비 급등 우려

6월부터 민간 아파트에도
제로에너지 5등급 의무화

서울의 한 민간 아파트 옥상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 연합뉴스
오는 6월부터 민간 아파트에도 ‘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인증이 의무화되면서 공사비 상승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는 분양가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수요자들 사이에서는 상반기 내 분양을 서둘러야 한다는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기존 공공 건축물에만 적용하던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를 민간 건축물로 확대한다.

이에 따라 올해 6월부터는 30가구 이상 민간 아파트가 기본적으로 5등급 인증을 받아야 하며 이를 위해 고성능 창호, 단열재, 태양광 설비 등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업계는 이러한 조치로 인해 공사비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분양가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제로에너지 인증 의무화에 따른 공사비 증가 폭을 전용 면적 84㎡ 기준 가구당 약 130만원 수준으로 예상한다.

하지만 건설업계는 실제 증가 폭이 이보다 더 클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최소 300만원 이상이 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이미 공사비는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인상으로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공사비지수는 2020년 이후 꾸준히 오르며 지난해 11월 기준 130.26을 기록했다.

이는 2020년을 기준치(100)로 삼았을 때 30% 이상 증가한 수치다.


공사비가 오르면서 지난해 아파트 분양가 역시 큰 폭으로 인상됐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4년 전국 아파트 3.3㎡당 평균 분양가는 2063만원으로 2023년 1800만원 대비 14.61% 상승했다.

전용 면적 84㎡ 기준으로 환산하면 6600만원가량 오른 셈이다.


제로에너지 인증 의무화로 인한 공사비와 분양가 상승은 오는 7월 시행 예정인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제도와 맞물려 분양 시장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의무화로 인한 고효율 자재와 친환경 설비 설치 비용 증가가 예상보다 더 커질 수 있으며 실제 분양가 상승 폭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또 “하반기 대출 한도 축소 우려로 인해 수요자들이 매수 시기를 앞당기면서 올 상반기 분양 시장이 활기를 띨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가운데 올해 1분기 분양을 앞둔 주요 단지들이 눈길을 끈다.

두산건설 컨소시엄(두산건설·GS건설·금호건설)은 경남 창원특례시 진해구 여좌동 일원 대야 구역 재개발 정비사업을 통해 ‘창원 메가시티 자이&위브’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37층, 17개 동, 총 2,638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이 가운데 전용 면적 54~102㎡ 2038가구를 일반분양한다.


DL이앤씨는 충남 천안시 서북구 업성도시개발구역(업성동 465-6번지 일원)에서 ‘e편한세상 성성호수공원’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최고 39층, 13개 동, 전용 84~191㎡ 총 1763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이 가운데 임대를 제외한 1498가구를 일반분양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