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전쟁 확전 ◆
트럼프발(發) 글로벌 관세전쟁이 확산하고 있다.
미·중 관세전쟁이 10일 시작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에 25%포인트 추가' 등 새로운 관세 계획을 속속 내놓고 있어서다.
특히 관세폭탄의 직격탄을 맞게 된 국가들이 '즉각 대응' 방침으로 맞설 태세여서 관세전쟁은 점차 격화될 분위기다.
중국은 10일부터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LNG)에 15%포인트 추가 관세, 원유·농기계·대형차·픽업트럭에는 10%포인트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지난 4일(현지시간) 중국산 수입품에 10%포인트 추가 관세 부과를 강행한 데 대한 맞대응 차원이다.
미국이 이에 대한 보복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일 서명한 대중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는 중국이 이 조치에 대해 보복관세를 부과하거나 유사한 조치를 취한다면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인상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예정됐던 통화가 성사되면 미·중 관세전쟁을 막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지만, 관세전쟁 개시 이전에 양국 정상 간 통화는 이뤄지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 타깃'으로 꼽히는 유럽 정상들도 단호한 발언을 내놓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토론회에서 미국의 관세에 맞설 대응 방안을 묻는 질문에 "유럽연합(EU)은 1시간 내에 대응할 수 있다"고 답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CNN 인터뷰에서 "우리 자신을 위해 미국 움직임에 대응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목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 계획이다.
9일 트럼프 대통령은 11~12일 상호관세 계획을 발표하겠다고 밝히면서 "매우 간단하게 만약 그들이 우리에게 (관세를) 청구하면 우리도 그들에게 청구할 것"이라며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의 개념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대국이 미국 상품에 부과하는 높은 관세율만큼 미국이 상대국 동일 상품에 낮게 적용해온 관세율을 똑같이 상향 조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지 설명을 고려하면 미국은 대상이 되는 국가들의 품목별 무역장벽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상호관세에 비관세 장벽이 반영되면 미국 입장에 치우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확대될 수도 있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