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달한 밸런타인데이, 가격은 씁쓸하네”…1알에 1000원까지 치솟은 이 제품

초콜릿 대명사 ‘페레로 로쉐’
치솟은 코코아값에 귀한 몸

페레로 로쉐. [사진 출처 = 매일유업]
작년 한 해 초콜릿의 원재료인 코코아 값이 치솟으면서 초콜릿이 귀한 몸이 되고 있다.

초콜릿 가격 인상을 감안해 유통업계는 밸런타인 특별 선물을 기획할 때 초콜릿을 줄이고 캐릭터·에코백·쿠션 등 실속형 상품들로 메우고 있다.


9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밸런타인 초콜릿의 대명사 ‘페레로 로쉐’(로쉐)의 가격(3구 정가 기준)은 지난해 2700원에서 올해 3000원으로 올랐다.

1알에 1000원을 돌파한 것이다.

로쉐의 가격은 2년 새 2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5구 가격도 4300원에서 4700원으로, 8구(하트 모양) 정가도 1만원에서 1만1000원으로 올랐다.


이탈리아 프리미엄 초콜릿 회사인 페레로는 국내에서 지난해 951억원의 매출(식품산업통계정보 기준)을 올린 국내 시장 점유율 2위 업체다.

국내 유통은 매일유업이 맡고 있다.

그중 로쉐는 지난해에만 503억원어치가 팔려 시장 점유율 2위를 기록했다.

회사 관계자는 “지난해 6월부터 순차적으로 가격을 인상했다”며 “코코아 가격과 오일 가격이 급등한 게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프리미엄 초콜릿케이크로 유명한 고디바는 밸런타인데이를 앞두고 일부 케이크 제품 중량을 30% 넘게 줄이는 방식을 택했다.

회사는 “1월부로 ‘초콜릿레이어케이크’의 중량을 기존 540g에서 370g으로 조정했다”고 공지했다.

고디바는 1926년 벨기에에서 탄생한 프리미엄 초콜릿 브랜드다.

비에스코퍼레이션(BSK)이 유통·판매하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지난해 5월과 이달 연달아 초콜릿 과자의 가격을 올렸다.

초코 빼빼로는 지난해 5월 이전과 비교하면 총 300원 올라 2000원이 됐다.

크런키는 500원 뛰어 1700원이 됐다.


가격 인상을 부른 건 천정부지로 치솟은 초콜릿의 원재료인 코코아 가격이다.

코코아 가격은 지난해 12월 18일 t당 1만2565달러(약 1819만원)로 최고치를 경신한 이후 1만달러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달러당 원화값은 1450원 안팎을 오르내리고 있다.


편의점 업계에선 고물가 상황을 고려해 초콜릿 과자의 비중을 줄이고, 실속형 상품이나 캐릭터 상품으로 소비자 공략에 나서고 있다.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CU는 에버랜드의 푸바오를 잇는 인기 동물 카피바라를 캐릭터화한 ‘뿌직이’ ‘빠직이’ 협업 상품 등 34종을 선보였다.

2020년 20종에 불과했던 실속형·캐릭터 기획 상품을 늘린 것이다.

반면에 초콜릿을 중심으로 한 기획 상품은 2020년 72종에서 올해 35종으로 줄였다.


편의점 세븐일레븐의 밸런타인데이 기획 상품. [사진 출처 = 세븐일레븐]
올해 세븐일레븐은 밸런타인 기획 상품 중 굿즈 기반 상품이 20종으로, 2022년 15종에 비해 늘렸다.

초콜릿 기반 상품은 2022년 90종에서 2025년 80종으로 줄였다.

편의점 관계자는 “선물용 초콜릿 제품만으로 밸런타인데이 특수를 공략하는 시대는 끝났다”며 “약간의 초콜릿에 실용적 제품들이나 좋아하는 캐릭터가 결합된 상품이 대세가 됐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