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정부가 특별고용지원 업종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을 90일 동안 추가로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항공업계는 일단 무급휴직과 같은 당장의 급한 불은 껐다는 반응인데요.
하지만, 침체된 업황이 되살아나기까지 정책금융 지원 등의 추가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명진 기자입니다.
【 기자 】
고용노동부가 특별고용지원 업종의 유급 고용유지지원금 지급 기간을 3개월 더 연장하는 안을 심의·의결했습니다.
고용유지지원금은 정부가 근로자들의 실직을 막기 위해 휴업수당의 90%를 지원해주는 제도로, 연간 최대 180일(6개월)까지 지원이 가능합니다.
기간 연장으로 항공업·여행업·관광운송업 등 15개 업종이 오는 9월 30일까지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정부의 이번 결정에 항공업계는 일단 무급휴직 대란 등의 급한 불은 껐다는 분위기입니다.
경영난으로 올 초부터 순환휴직에 들어갔던 항공사들은 이달 말 지원금이 종료되면 무급휴직 전환이 불가피한 상황이었습니다.
업계는 무급휴직이 실시될 경우 근로자들의 임금 수준은 평균의 50% 미만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앞서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해 6개 항공사들 의 매출액이 전년 대비 44.2% 감소한 반면, 고용은 정부 지원금의 영향으로 3.1% 감소하는데 그쳤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번 지원책이 업계의 입장을 충분히 수용하지 못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앞서 국내 공항·항공업 관련 15개사 소속 노조는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기간을 최소한 180일로 늘려달라고 요청했지만, 정부는 3개월 연장을 결정했습니다.
또 정부가 올초 LCC를 대상으로 2천억 원 규모의 정책금융 자금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장 실사나 사전 조사 등도 아직 이뤄지지 않은 상황입니다.
때문에 이번 지원금 연장과 더불어 구체적인 지원책을 촉구하는 업계의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매일경제TV 이명진입니다. [ pridehot@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