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은 개막이 1년 남지 않은 2026 북중미 월드컵을 향한 본격적인 첫걸음이다.

그동안 기회를 받지 못했던 선수들의 ‘점검의 장’이 되기도 한다.

경쟁에서 살아남는다면, 내년 북중미행을 기대할 수 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축구국가대표팀은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동아시안컵은 국제축구연맹(FIFA) 주관 A매치가 아니라 각 소속팀이 선수를 의무적으로 차출할 필요가 없다.

유럽파들은 소속팀 프리시즌 일정에 맞춰 다수 복귀했다.

홍명보 감독은 K리그 23인, J리그 3인으로 총 26인 소집 명단을 꾸렸다.

그는 대회를 앞두고 “선수들이 ‘테스트’라는 명목 아래에 본격적인 전쟁을 시작했다”라며 선의의 경쟁을 기대했다.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포지션은 최전방 공격수다.

이번 대회 홍명보 감독은 꾸준히 발탁했던 주민규(대전하나시티즌), 오세훈(마치다 젤비아)을 비롯해 새 얼굴 이호재(포항스틸러스)를 불러들였다.


이호재.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번 대회에서는 최고참 주민규가 먼저 활약했다.

7일 중국과 개막전에서 그는 1-0으로 앞선 전반 21분 이태석(포항)의 크로스를 헤더로 연결하며 추가골을 터뜨렸다.

벤치에 있던 오세훈, 이호재는 주민규의 활약을 바라봤다.


이후 이호재가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3-0으로 앞선 후반 19분 문선민을 대신해 경기장을 밟았다.

이호재는 부지런히 움직이며 추가골 기회를 엿봤다.

슈팅 기회도 잡는 모습이었지만, 상대 육탄 방어에 막히며 아쉬움을 남겼다.


주민규. 사진=연합뉴스 제공
사진=대한축구협회
홍콩과 2차전에서 누가 홍명보호의 최전방을 지킬지 시선이 쏠린다.

홍명보 감독이 중국전에서 이호재를 비롯해 김봉수, 서민우, 강상윤, 모재현, 이승원 등 첫 발탁된 선수들에게 대거 기회를 준 점을 감안하면, 이호재가 선발로 나설 가능성이 크다.

이호재는 193cm의 장신 공격수로 아버지 이기형 옌볜 룽딩 감독 못지않은 슈팅 파워를 갖추고 있다.

이번 경기 상대인 홍콩은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147위로 한국(23위)보다 124계단 차이다.

전력상 이번 대회 남자부 최약체로 꼽히고 있다.

기회를 받지 못했던 선수들을 점검할 또 한 번의 기회다.


한국 축구 대표팀 홍명보 감독. 사진=이근승 기자
오세훈 또한 선발 가능성이 높다.

15일 결승전이 될 가능성이 높은 한일전을 앞두고 예열이 필요하다.

오세훈은 홍명보호에 꾸준히 발탁돼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 진출 주축으로 활약했다.

J리그 일정으로 나상호(마치다 젤비아), 김태현(가시마 앤틀러스)과 함께 늦게 대표팀에 합류했다.

회복을 마친 가운데 홍콩전 득점포로 좋은 흐름을 잡는다면, 일본전까지 이어질 수 있다.


향후 세 선수 외에도 유럽파까지 합류한다면, 홍명보호의 최전방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중요 일정마다 발탁됐던 오현규(헹크), 부상에서 돌아온 조규성(미트윌란), 연령별 대표팀에서 꾸준한 활약을 보여준 이영준(그라스호퍼 취리히)이 기회를 받을 수 있다.


[용인=김영훈 MK스포츠 기자]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