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상품 수출 의존도가 주요 20개국(G20)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트럼프발 보호무역주의 강화 속에 한국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이 드러났다는 시선이 나옵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오늘(9일) 발표한 'G20 상품 수출 의존도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2023년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상품 수출 비중이 37.6%로 G20 중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제조업 강국 독일(33.3%)은 물론, 중국(17.9%), 일본(17.0%)보다도 높은 수치이며, G20 평균(16.5%)의 두 배를 웃돕니다.

특히 한국의 상품 수출 의존도는 1995년 21.1%에서 2023년 37.6%로 30년간 16.5%포인트 증가했습니다.

이는 멕시코(20.5%포인트)에 이어 G20에서 두 번째로 큰 증가폭입니다.

보고서는 한국 경제가 '상품 수출' 중심에서 벗어나 '서비스 수지'와 '본원소득 수지'까지 아우르는 경상수지 전반의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한국의 서비스수지는 1998~1999년을 제외하고 줄곧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적자 규모는 -268억2천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본원소득수지는 해외 투자에서 얻는 이자와 배당 등을 포함하는 소득거래 항목으로, 한국은 2010년대 이후 흑자를 유지 중입니다.

하지만 GDP 대비 본원소득 비중은 4%에 불과해 일본(9.8%), 독일(9.7%)과 비교해 취약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주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GDP 대비 제조업 비중이 높은 한국은 줄곧 상품 수출에 의존한 성장을 해왔다"며 "영국과 일본의 서비스·본원소득수지 강화 노력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