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도 못 말린 ‘똘똘한 한채’ 선호…강남·용산 집값 상승폭 또 올라

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서울 아파트값, 16주 연속 상승

서울 서초구 반포권역 일대의 아파트. [사진출처=NH투자증권]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아파트값 상승폭이 계속 커지고 있다.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갈수록 강해지며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지정에도 집값이 고공행진 하는 형국이다.


2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5월 셋째주(19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3% 올랐다.

전주(0.10%) 대비 상승폭을 키우며 16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강남3구의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서초구 집값 상승률은 0.32%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일주일 전(0.23%)보다 한층 큰 상승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강남구(0.19%→0.26%), 송파구(0.22%→0.30%), 용산구(0.15%→0.16%)도 마찬가지다.


앞서 지난 3월 4개 자치구에 속한 모든 아파트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바 있다.

이후 집값 상승률이 다소 주춤하는 듯 했지만 5월 들어 상승폭이 계속 커지는 상황이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매물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똘똘한 한 채 기조가 커지며 호가가 꺾이지 않고 있다”며 “신규 공급이 부족한 것도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사진출처=한국부동산원]
강남3구와 용산구 인접지역인 성동구(0.21%), 강동구(0.19%), 마포구(0.16%), 동작구(0.13%) 집값 상승률도 서울 평균 이상이었다.

준강남이라 불리는 경기 과천(0.23%), 성남 분당(0.21%) 집값 상승세도 눈에 띄었다.


재건축 단지가 몰려있는 양천구와 영등포구 아파트값도 들썩이는 모양새다.

목동이 속한 양천구 아파트값은 0.22% 오르며 전주(0.13%) 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여의도가 있는 영등포구(0.16%)도 전주(0.13%)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다만 서울 강북지역은 사뭇 다른 분위기다.

노원·도봉·강북구(노도강) 집값은 모두 보합세(0.00%)를 기록했다.

은평구(0.04%), 중랑구(0.02%), 중구(0.01%)도 상승세는 미미했다.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단지 등 주요 선호단지 위주로 매도 희망가격이 상승하나 일부 지역에선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지방 집값은 하락폭이 커지고 있다.

이번주 지방 아파트 가격은 0.04% 떨어졌다.

이는 전주(-0.02%)보다 더 큰 하락률을 기록한 셈이다.

전국 아파트 가격은 전주와 마찬가지로 보합세를 보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