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법 개정안 재추진·자사주 소각 등 강조
이재명 발언에 시장 일각에선 호응도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 4월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여론조사 1위를 달리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상법 개정안 재추진은 물론 자사주 원칙적 소각 등 공약을 강조하자 재계에선 긴장감이 감돈다.
특히 발행주식 대비 자사주 비중이 높은 일부 대기업 지주사 안팎에선 우려가 팽배하다.
이 후보는 지난 4월 21일 페이스북에 올린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발표문’에서 상법 개정안(이사의 충실의무 대상 ‘회사’에서 ‘회사 및 주주’로 확대) 재추진과 함께 상장사 자사주 원칙적 소각과 자회사 분할 상장 시 일반주주에게 신주 우선 배정 등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코스피 ‘5000시대’를 열겠다는 게 이 후보 구상이다.
재계와 시장에선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두고 시각이 엇갈렸다.
재계에선 경영권 방어는 물론 자사주를 활용한 교환사채(EB) 발행 등 자금 조달에 난항을 겪을 것을 우려한다.
반면, 자본시장에서는 대체로 자사주 소각 의무화에 공감하는 분위기다.
금융투자 업계 관계자는 “사실상 총수 일가 경영권 방어를 위해 막대한 회삿돈을 자사주 매입에 쓰는 건 비효율적인 자본배치로 볼 수밖에 없다”라고 지적했다.
재계에선 SK그룹과 롯데그룹이 자사주 비중이 높은 곳으로 지목된다.
롯데지주의 경우 발행주식 대비 자사주 비중이 32.5%로 주요 대기업 지주사 가운데 가장 높은 편이다.
옛 소버린 사태 당시 경영권을 위협받은 SK그룹도 지주사 SK(주) 자사주 비중이 약 25%로 높은 편이다.
이외
신영증권도 자사주 비중이 약 53%로, 발행주식 절반 이상을 자사주로 보유하고 있다.
신영증권은 증권사 뿐아니라, 전 업권을 통틀어 자사주 비중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신영증권 역시 오너 일가의 낮은 지분율을 보호하고 배당금 수령액을 늘리려 매년 회삿돈으로 자사주를 매입해왔단 평가를 받는다.
한편, 이 후보는 10억원대 주식을 굴려 정치권에선 ‘왕개미’란 평가도 받는다.
관보에 따르면, 2018년 3월 말 당시 이 후보는
SK이노베이션 2200주,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 4500주,
KB금융 2300주,
LG디스플레이 8000주,
성우하이텍 1만6000주 등을 들고 있었다.
당시 시가로 13억원어치에 달했다.
이 후보는 경기도 지사에 당선된 2018년 광역단체장 주식 보유 금지 규정에 따라 주식을 모두 매각했다.
그러다 20대 대선 직후 주식 투자를 재개했다.
2022년 10월 국회공보에 따르면, 그는
HD한국조선해양 1670주,
HD현대중공업 690주 등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는 주식을 모두 정리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