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이 1분기 말 부실대출을 집중적으로 정리하면서 지난달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10분의 1 수준으로 반짝 급감했다.
하지만 연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으로 서울 주택 거래가 늘면서 4월부터는 가계대출이 다시 불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금융당국은 이달이 가계대출 관리 분기점이 될 것으로 봤다.
9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3월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1672조2000억원)은 전월과 비교해 4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2월 4조2000억원 늘어난 것에 비하면 증가세가 큰 폭으로 꺾였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1조4000억원 늘었지만 제2금융권 대출은 거꾸로 1조원 줄었다.
특히 여신전문금융회사(-9000억원)에서 감소폭이 컸다.
금융권 전체 주택담보대출은 3조4000억원 증가해 전월(4조9000억원)의 70% 수준으로 줄었다.
지난달 대출 감소에는 부실대출 관리(상각)에 따른 '착시 효과'가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회사들이 연체가 심해 회계상 손실 처리하며 줄어든 대출이 1조5000억원 선으로 많았다.
문제는 지난 2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 서울 일부 지역 규제 완화 이후 부동산 거래가 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는 4743건으로 전월 대비 46.7% 급증했다.
통상 서울 아파트 거래는 가계부채에 한 발 앞서 움직인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4월 이후가 향후 가계대출 관리에서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에서 풍선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김정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