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기 전 기한 연장·일시상환 서비스 제공
은행권 최초…월평균 31만원 대출금 절감
토스뱅크는 고객들의 대출 상환 부담을 줄이고 연체를 사전에 예방하는 대출 상환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토스뱅크는 지난 2022년 10월 국내 최초로 ‘매달 내는 돈 낮추기’ 출시를 시작으로 ‘매달 이자만 갚기’ 를 통해 고객의 채무 부담을 줄여주는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업계 최초로 연체 우려 단계에서부터 고객이 주도적으로 위험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들로, 고객들의 대출 상환 부담을 줄이고 연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우선 ‘매달 내는 돈 낮추기’는 대출 상환 기간을 연장해 고객의 월 상환 부담을 줄여주는 서비스로, 상환 기간은 최초 대출 기간을 포함해 최대 10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용대출의 상환 기간이 3~5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경제적으로 취약한 상황에 처한 고객이 보다 유연하게 상환 부담을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까지 약 4만 6000명이 이를 이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를 들어 3년 만기 5,000만 원 대출(금리 5%)을 이용 중인 A 고객이 예상치 못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어 ‘매달 내는 돈 낮추기’ 서비스를 통해 상환 기간을 10년으로 연장하면, 월 상환액이 기존 62만 8000원에서 31만 2000원으로 크게 줄어든다.
실제로 이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들은 1인당 평균 월 31만 6000원의 원리금 부담을 덜었다.
‘매달 이자만 갚기’는 원금과 이자를 함께 상환하고 있는 고객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원금이 아닌 이자만 갚을 수 있도록 대출 상환 부담을 완화하는 서비스다.
원리금 균등 상환 방식에서 만기 일시상환 방식으로 전환되면, 고객은 매달 원금과 이자가 아닌 이자만 납부하면 된다.
해당 서비스는 2023년 4월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약 2만8000명의 고객이 이용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이 미뤄둔 원금 규모는 약 6000억 원에 달하며, 1인당 평균 2140만 원의 원금을 만기 일시상환 방식으로 전환해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부담을 줄일 수 있었다.
두 서비스는 토스뱅크 신용대출 고객 중 원리금 균등 상환 방식의 대출을 이용하는 고객이 신청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 시 ‘매달 내는 돈 낮추기’는 고객이 신청한 연장 기간에 따라 발생하는 리스크 비용(유동성 프리미엄)이 최소 0.07%포인트에서 최대 0.3%포인트까지 소폭 반영될 수 있다.
‘매달 이자만 갚기’는 금리가 기존과 동일하거나 소폭 하락한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앞으로도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더 안정적으로 금융 생활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토스뱅크는 건강한 차주들을 위해 금리인하요구권을 행사하지 않아도 먼저 제안하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토스뱅크 고객은 신용도 개선 여부를 알지 못하더라도 앱내에서 ‘금리 낮아질 때 알림받기’에 동의하면 토스뱅크로부터 먼저 제안받을 수 있다.
현재까지 누적 알림 발송건수는 약 35만건에 달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