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일주일 만에 서울 강남 3구 집값이 치솟고 있다.

특히 압구정 등 아직 해제되지 않은 구역도 인근 구역의 해제 영향을 받아 강남구와 송파구 아파트값 전반이 급등세를 보인다.

반면 서울 동북권에선 하락폭이 더 커지는 등 시내 아파트값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2월 셋째주(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0.02%보다 더 큰 폭인 0.06% 상승했다.

전국과 수도권, 지방 아파트값은 각각 0.03%, 0.01%, 0.04% 하락했지만 서울만 나홀로 오름세를 이어갔다.


특히 서울 송파구 잠실동과 강남구 삼성동·대치동·청담동 일대 291개 아파트 단지에 적용돼온 토지거래허가제가 해제되면서 이들 2개 구 아파트값이 크게 올랐다.

송파구는 전주 상승폭 0.14%에서 이번주 0.36%로, 강남구는 0.08%에서 0.27%로 모두 3배가량 껑충 뛰었다.

서초구 역시 0.11%에서 0.18%로 상승폭을 키웠다.

서초동과 잠원동 위주로 값이 올랐다.


송파구 잠실동의 대장주 아파트인 엘스·리센츠·트리지움(엘리트) 외에 아직 토지거래허가제가 풀리지 않은 압구정 등의 아파트 가격도 크게 오르고 있다.

강남구 압구정동 미성1차 아파트 전용면적 106㎡는 올해 1월 40억원에 거래됐지만 현재 호가는 최고 45억원까지 치솟았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토지거래허가제는 부작용이 커서 큰 틀에서 보면 해제하는 게 맞는다"며 "지금은 전체적으로 아직 관망 조정 상태여서 강남을 비롯해 구매력과 미래 가치가 큰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가 활발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한 주 새 가격 하락폭이 더 커진 지역도 있다.

동대문구(-0.01%→-0.05%)와 강북구(-0.03%→-0.04%), 노원구(-0.02%→-0.04%), 중랑구(-0.01%→-0.04%) 등 주로 서울 동북권 아파트다.

동대문구는 장안동과 답십리동, 노원구는 상계동과 중계동, 도봉구는 방학동과 창동 위주로 하락했다.

강남 11개 구는 구로·금천구를 제외하고 9개 구 모두 아파트값이 오르거나 보합인 반면 강북 14개 구에서는 6곳의 값이 내려갔다.

실제로 동대문구 답십리동 동아아파트 전용 84㎡ 중층은 지난해 8월 7억8600만원에 거래됐지만 12월 7억6500만원으로 주춤했고 저층은 올해 1월 7억1000만원에 팔렸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