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정부와 공공기관, 기업들의 중국의 인공지능(AI) 딥시크 차단 조치가 이어지면서, 국내에서 딥시크 사용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9일)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딥시크 앱의 일간 사용자 수는 지난달 28일 19만1,556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뒤, 29일 13만2,781명, 30일 9만6,751명으로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차단 움직임이 본격화된 지난 4일에는 일간 사용자가 7만 4,688명까지 줄어들며 하락세가 이어졌습니다.
딥시크 공개 직후, 챗GPT를 중국 스타트업이 저비용으로 능가했다는 호기심이 더해지며 이용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지만, 보안 우려가 확산하며 사용량이 급감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정부가 공식적으로 딥시크 사용 자제를 권고하면서 이 같은 추세는 더욱 뚜렷해질 전망입니다.
신규 설치 건수에서도 이러한 추세가 극명하게 드러났습니다.
지난달 28일 설 연휴 기간 동안 딥시크 신규 설치 건수는 17만1,257건으로 최다를 기록했으나, 29일 6만7,664건으로 하루 만에 3분의 1 수준으로 하락했습니다.
이달 들어서는 1일 3만3,976건, 2일 2만5,606건, 3일 2만3,208건, 4일 2만452건 등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가 4일 공공기관 및 지자체에 생성형 AI 사용 유의 공문을 발송한 이후, 딥시크 신규 설치 건수는 28일 대비 8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습니다.
행안부의 조치 이후 외교·안보·국방을 비롯한 모든 부처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등 보안 조치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주요 기업과 공공기관 역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개인용 단말기에서도 업무 목적 사용을 자제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7일 별도 브리핑을 통해 "딥시크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보안상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며 신중한 이용을 당부했습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