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을 상대로 관세를 부과하기로 최종 결정했습니다.
관세 전쟁의 현실화는 우리 경제에도 적지 않은 파장이 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특히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자동차 업계에는 긴장감이 맴돌고 있습니다.
보도에 현연수 기자입니다.


【 기자 】
트럼프 대통령이 현지시간으로 1일 캐나다와 멕시코, 그리고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세 국가에 대한 실제 관세 부과는 4일부터 시행됩니다.

이번 조치에 따라 캐나다는 에너지 제품을 제외한 모든 수출품에 25%의 관세가 부과되며, 멕시코의 경우 에너지류를 포함한 전 품목이 동일한 관세율을 적용받습니다.

중국 제품에도 10%의 추가 보편 관세가 매겨집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EU 제품에도 관세를 곧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문제는 이들 국가가 보복 조치 움직임에 나서면서, 본격적인 관세 전쟁으로 번질 조짐이 보인다는 것입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미국 내 노조와 업계에서도 미국 기업과 소비자들에게 타격을 줄 수 있다며 관세 부과를 재고할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관세전쟁의 후폭풍은 국내 산업계도 흔들고 있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생산기지를 갖춘 기업들은 트럼프의 관세 조치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

무엇보다 국내 자동차 업계는 비상이 걸렸습니다.

미국 수출을 염두에 두고 캐나다와 멕시코에 진출한 국내 완성차와 부품업계는 즉각적인 비용 부담을 떠안게 됐습니다.

현재 현대차그룹은 멕시코에서 기아와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공장 등을 운영 중인데, 생산량 다수가 미국 시장에서 판매됐습니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은 멕시코 생산 차량의 수출을 다변화하거나, 공장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인터뷰(☎) : 김용진 / 서강대학교 교수
- "(관세) 10% 정도까지는 제가 보기에는 자동차 회사들이 흡수가 가능할 것 같아요. 그런데 캐나다와 멕시코는 25% 얘기를 하고 있는데, 거기까지 가면 상당히 힘들어지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보여요."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한국이 추가 관세 대상에 포함될 경우, 경제 전반에 미치는 충격이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매일경제TV 현연수입니다.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